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베수비오 챌린지는 2023년 12월 31일까지 전 세계 참가자들의 해독 결과를 받고, 2024년 초 최종 우승자를 발표할 계획이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어 상금을 차지하려는 ‘온라인 보물찾기’의 결말이 기대된다 ... ...
- [과학영상 읽어줌] 살아 움직이는 돌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조회 수 : 116만 회다양한 순간을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하는 유튜버 ‘The Slow Mo Guys’가 1초에 1만 장의 순간을 촬영한 뒤 이를 느리게 재생하며 팝콘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소개했어요. 옥수수를 가열하면 속에 들어 있던 수분이 증발해 수증기가 되며 급격히 부피가 커져 옥수수 내부의 압력을 ... ...
- [4컷 만화] 소음으로 조명을 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충전한 뒤, 발광 다이오드(LED)에 연결했어요. 그 결과 충전기 두 개로 38개의 LED를 30~45초 동안 켜는 데 성공했습니다. 프라사드 교수는 “소리는 공간 내부의 벽에 부딪히면서 울려 퍼지는데, 압전 센서에 부딪히면 소리의 진동이 흡수되면서 소음도 줄일 수 있다”고 밝혔어요 ... ...
- [가상인터뷰] 빵빵! 세포 안에서 교통 체증이 발생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빠른 속도로 추적하는 현미경이야. 소포가 핵 주변에서 세포 가장자리로 이동하기까지 1초마다 50장의 사진을 촬영해 100개가 넘는 소포의 이동 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어. 그 결과, 소포들의 이동 경로를 지도처럼 그릴 수 있었지.지도 모양이 어땠어?자동차를 탄 사람들이 도로에서 교통 체증을 겪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멀어질수록 물체는 점점 작게 보입니다. 태양은 지구에서 약 1억 5000만km 떨어져 있어요. 1초에 지구를 7바퀴 넘게 돌 수 있을 정도로 빠른 빛도 태양에서 출발해 지구로 오는 데는 8분이나 걸리죠. 반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달은 지구에서 36만 3000~40만 5000km 떨어져 있어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어요. ... ...
- 비결은 어과동? 한도하 독자, 2023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국무총리상 수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발밑이 보이는 구조용 들것’을 발명한 한도하 독자를 학교에서 만났어요. 올해 초, 튀르키예에서 큰 지진이 발생했을 때 TV에서 뉴스를 보던 한도하 독자는 “들것을 든 구조대원들이 먼지와 연기 속에서 위험하게 이동하는 모습을 보고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그래서 한도하 ... ...
- [통합과학 교과서] 깨져버린 탕후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몸은 도파민에 내성이 생겨 더 많은 도파민이 있어야만 기분이 좋아지고, 계속해서 초가공식품을 찾는 중독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탕후루에 들어 있는 당분의 양도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세계보건기구(WHO)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하루 당분 섭취량을 25g 이내로 권장합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에서 광고 식별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까무잡잡한 피부에 마른 체형이었어요. 우리에게 익숙한 산타클로스의 모습은 1900년대 초 한 콜라 회사의 광고를 담당한 미국의 일러스트레이터 헤든 선드볼름이 만들었어요. 겨울철에 시원한 콜라가 잘 팔리지 않자, 선드볼름은 회사를 상징하는 붉은색 옷을 산타클로스에게 입혔어요. 그리고 ... ...
- [특집] 어린이도 척척! 2023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노벨위원회는 해마다 총 여섯 분야에서 ‘인류에게 가장 큰 이익을 가져다준 사람들’을 뽑아 상을 수여합니다. 올해 노벨 과학상은 많은 생명을 구한 mRNA 백신 개발의 주인공들, 전자의 움직임까지 포착하는 ‘아토 과학’ 시대를 연 과학자들이 수상했어요. TV 화면에서 선명한 빛을 발하는 나노 ... ...
- [노벨 물리학상] 전자까지 순간 포착! 아토 과학 시대를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수 있는 도구를 얻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아토초 다음은 그보다 1000배나 짧은 젭토초”라며 “단위의 벽을 허물 때마다 노벨상 수상자가 탄생하고, 인류의 시야도 넓어질 것”이라고 덧붙였어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