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액
정액
수액
d라이브러리
"
체액
"(으)로 총 237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했어. 몸에 들어온 방사성 물질의 대부분은 소변이나 땀 같은
체액
의 형태로 배출되기도 해.괴담5 일본에서 살거나 다녀온 사람은 걸어 다니는 방사능?사실이 아니야. 일본에서 살았거나 여행 다녀온 친구를 멀리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들었어. 방사능은 바이러스가 아니야.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3호
털진드기 가족을 만나다!어과동 친구들, 안녕~! 우린 털진드기 가족이야. 사람이나 동물
체액
을 빨아 먹고 살지. 난 0.1㎜ 크기라서 눈에 잘 보이지 않아. 하지만 무서운 츠츠가무시증을 옮기기로 유명하지. 츠츠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애벌레가 사람을 물 때 생기는 전염병이야. 물린 부위에 물집이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얻었다.연구팀은 태평양 먹장어의 피부 표본을 영양분이 풍부한 바닷물과 먹장어의
체액
과 같은 성분의 액체 사이에 넣었다. 그러자 바닷물 속에 있는 아미노산이 피부를 통과했다. 보통 피부는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물질을 잘 통과시키지 않는다. 먹장어는 물에서 직접 영양분을 ... ...
새댁기자의 쿡쿡 맛있는 과학 - 6화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일반적으로 붉은 살이 흰 살보다 맛있답니다. 특히 고등어 같은 바닷물고기는 바닷물과
체액
의 농도를 맞추기 위해 몸속에 아미노산을 많이 갖고 있어요. 단맛이 나는 글리신과 감칠맛이 나는 글루탐산염 같은 아미노산이 민물고기보다 3~10배나 많답니다.회유성 어류인 고등어는 2~3월에 우리나라 ... ...
안젤리나 졸리는 왜 유방제거수술을 받았나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유방 조직을 없애고 임시 충전물을 넣는 8시간에 걸친 수술이 끝난 뒤 깨어나서
체액
을 배출하는 튜브가 꽂혀있는 자신의 유방을 보니 ‘SF영화’의 한 장면을 연기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하지만 9주 뒤 성형수술을 받고 예전의 아름다운 가슴을 되찾고 나서는 “나는 확고한 ... ...
살인진드기, RNA 바이러스가 원인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아직까지 치료 방법이나 감염 기전이 밝혀지지 않은 바이러스인 만큼, 환자의 혈액에나
체액
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도 있어 환자를 접촉격리치료한다. 확정 진단은 환자의 혈액에서 바이러스를 분리해 검사해야 알 수 있다. 제주도 사망 환자의 검체에서는 SFTS 바이러스의 유전자 중 S절편과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목숨을 앗아가는 공포의 대상이었어요. 콜레라는 콜레라균에 의해 심한 설사를 하고
체액
과 염분이 과다하게 손실되는 질병이에요. 콜레라균은 대개 오염된 물이나 음식에 포함되어 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와 소장을 덮은 점막에 감염을 일으키죠.1829년 콜레라가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을 했어요. ... ...
꽃 호르몬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설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결과가 필요했다. 특히 호박의 관다발 조직에서 분출되는
체액
에서 FT 단백질이 검출되면서 이것이 플로리겐임을 전 세계 과학자들이 인정하게 됐다. 플로리겐을 찾는 데 왜 70년이나 걸렸을까지금까지 찾는 데 이토록 오래 걸린 호르몬은 없었다. 이유는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우주정거장에서 생활하는 우주인이 겪는 것과 비슷한 문제가생긴다. 피를 비롯한 몸의
체액
이 상체로 더 쏠리고, 키는 조금 더 커진다. 하지만 근육과 뼈의 칼슘이 손실돼 몸은 약해진다. 생활이나 과학기술 연구에도 변화가 찾아온다. 위아래라는 개념이 사라지기 때문에 생활 공간 속의 문이나 ... ...
아무리 추워도 얼지 않는다! 결빙방지단백질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북극 물고기가 물 속에서 얼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를 찾기 위해 물고기의
체액
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1969년 동물학자인 아서 드브리스가 남극 경골어류에서 수분이 어는 것을 막는 ‘결빙방지단백질’을 발견했지요.그 뒤로 결빙방지단백질은 여러 생물에게서 발견되었어요. 극지방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