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고] 선진국·개발도상국 한 목소리 "기후변화 대응, 다시 전진할 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공여국으로 함께하는 것뿐만 아니라 혁신적인 기후재원을 개발하는 것도 포함한다.
천문학
적 재원이 필요한 기후대응에 민간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두 번째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계획을 더욱 정교하게 만드는 역할이다. 한국은 이미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고, 높은 수준의 2030년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가혹한 과정이었던 것이다. 우주의 진리라는 거대한 바다의 중심을 향해 최근까지
천문학
자들은 은하들이 오직 다른 은하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통해서만 자신이 갖고 있던 가스 물질을 빼앗기고 생명력을 잃는다고 생각했다. 밀도가 낮은 은하단 외곽을 홀로 떠도는 은하들은 별다른 상호작용을 ... ...
[특집] 인류 최초의 별 목록표 우연한 발견과 복원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이 별의 좌표는 기원전 129년에 작성됐다”고 말했어요. 기원전 129년은 히파르코스가
천문학
자로서 활동했던 시기와 일치하죠. ●세차운동 : 팽이가 비틀거리며 회전하는 것처럼 회전하는 물체의 축이 틀어지는 일. 지구의 자전축도 이 운동으로 매년 조금씩 틀어진다. CCR에서 어떻게 숨겨진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옛
천문학
자들만 별 지도를 만들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최근에도
천문학
자들은 여전히 별 지도를 만들고 있죠. 그렇다면 오늘날에는 어떻게, 어째서 별 지 ... 관측할 수 있었죠. 게라 연구원은 “히파르코스 위성과 가이아 위성이 그린 별 지도는
천문학
자들에게 보물”이라고 말했어요 ... ...
[특집] 한반도에도 있다! 우리나라 별 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히파르코스가 별의 좌표 기록을 남긴 것처럼 우리나라 역시 아주 오랜
천문학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우리나라에는 어떤
천문학
... 때를 알고 계절 변화를 잘 예측해야 하니
천문학
이 중요했던 거죠. 그래서 국가 차원에서
천문학
을 연구하고 별 지도도 그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 ... ...
[특집] 2000년 전부터 열심히 그리는 중! 별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특집] 인류 최초의 별 목록표 우연한 발견과 복원까지Part2.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
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Part3. [특집] 한반도에도 있다! 우리나라 별 지도Part4.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 ... ...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
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과정은 인내심이 필요한 작업이었어요. 기괴한 고대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 애쓰고 고대
천문학
을 탐구하는 건 정말 어려웠죠. 마지막으로, 몇 달 동안 몰두해 제가 이해한 내용을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논문에 쓰는 것도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와 협업하는 ...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다른 입자와 반응하지도 않고, 자기장이나 중력 등에 끌려 다니며 경로를 바꾸지도 않는다는 친구가 남극에서 발견됐대. 그래서 나 과학 ... 통해서도 별의 폭발과 같은 격렬한 우주 활동을 연구할 수 있게 됐다”며 중성미자
천문학
을 실현할 새로운 시작임이 분명하다고 의의를 밝혔답니다 ... ...
[별별 우주 기네스] 인간이 발견한 최초의 소행성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2호
만들어져요. 그런데 오우무아무아는 태양과 가까워져도 꼬리가 생기지 않았어요. 그래서
천문학
자들은 오우무아무아를 소행성으로 분류했어요. 아직도 오우무아무아를 어떤 천체로 분류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의견이 있어요. 지금은 태양계 바깥에서 날아온 천체라는 의미로 ‘인터스텔라 ... ...
[기획] 유전학의 아버지 멘델 그의 업적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1호
멘델은 체코 올로모우츠팔라츠키대학교,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에서 철학과 물리학,
천문학
을 공부했습니다. 어린 시절 시골에서 정원사로 일하기도 해서 육종 개발에 관심이 많았던 멘델은 생물의 유전에 어떤 규칙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1856년부터 수도원의 온실에서 완두콩을 기르기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