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가
증대
번식
확장
증진
증가액
d라이브러리
"
증식
"(으)로 총 78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런 관점에서 제기된 가설 중 하나는 ‘세포퇴화설’이다. 세포퇴화설은 평범한 세포가
증식
과 같은 생명 현상을 다른 세포에 의지하게 되면서 이전에 필수적이었던 유전자를 점점 잃어 현재의 바이러스가 됐다는 가설이다. 이는 온몸에 수포를 발생시키는 천연두바이러스나 대상포진을 일으킬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점도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다행일 수밖에 없다. 감염된 숙주가 죽으면 바이러스도
증식
하지 못하고 함께 사멸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을 비롯한 동물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면역세포들이 바이러스의 유전체 복제와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인터페론’ 단백질 등의 신호 물질을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그러다 특정 자극을 받거나 바이러스를 퍼뜨리기 좋은 환경이 되면 폭발적으로
증식
한다.일단 전파가 시작되면 바이러스의 최종 목표는 또 다른 숙주를 찾아 최대한 멀리 자손을 퍼뜨리는 것이다.호흡기 바이러스는 들어올 때와 마찬가지로 호흡기를 통해 자손을 퍼뜨리는 전략을 취한다. 포유류가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가지로 구분되며 형태학적으로는 차이가 없다.세포독성 T림프구는 인체의 세포에 침투해
증식
하는 바이러스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찾아내 죽인다. 이때 세포독성 T림프구는 타깃으로 삼은 세포에 단백질인 퍼포린(perforin)을 뿌려 세포막을 녹여 구멍을 낸다. 그런 다음 그랜자임(granzyme)을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시험관에서
증식
시킨 최초의 연구이자, 폴리오바이러스가 신경 조직에서만
증식
한다는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결과였다.세 과학자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다른 개체군으로 피부종양세포를 이식했다. 그 결과, 이식받은 개체군에서는 암세포가
증식
하지 못했다. 이는 이식받은 개체에서 거부반응을 일으켰다는 뜻이다. 스넬은 여기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기 시작했다. 쥐의 꼬리를 다른 개체군의 쥐에게 이식하는 실험을 이어갔다. 역시 이식받은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땐
증식
이 불가능하고, 오직 숙주세포에 침투한 상태에서만 숙주의 효소를 이용해
증식
할 수 있다. 즉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붙거나 침투하는 것만 막아도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낼 수 있다는 뜻이다. 실제로 이런 원리로 만든 에이즈 치료용 항바이러스제가 칼레트라(Kaletra)라는 상품명으로 잘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일종인 JAK2-STAT3 경로에 의해서 시작된다. 이 경로에서 핵심이 되는 유전자는 과산화소체
증식
-활성화 수용체감마(PPARγ)란 이름을 가진 전사 인자인데, 이 전사 인자는 지방세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중요한 아디포넥틴(adiponectin)*, 페리리핀(perilipin)* 등을 합성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 ... ...
"원숭이에게 DNA 백신 시험 중"…코로나19 백신 개발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통해 백신 원료로 사용되는 플라스미드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량으로
증식
한 대장균의 단백질과 RNA, DNA 등을 제거하면 합성한 스파이크단백질 발현 유전자가 포함된 플라스미드만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안정화제, 면역보조제 등을 넣어 적절한 형태를 만들면(이를 ‘제형화’라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복구 과정에 문제가 발생해 암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암세포가 계속
증식
할 때는 세포 분열 속도와 정도를 조절하는 단백질이 고장 나거나 결핍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24시간 내내 쉬지 않고 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복제 과정에 문제가 생겨 ‘불량세포’가 만들어졌는데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