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몰락
실추
전도
구르기
낙하
d라이브러리
"
전락
"(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서 실험 옴부즈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않는 위치에너지를 눈에 보이려고 한 실험이 예정된 결과를 향한 짜맞추기식 실험으로
전락
했다. 그러다 보니 실제 결과와 다른 엉뚱한 그래프가 교과서의 한 장을 장식하게 됐다.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학기초면 제일 먼저 '일과 에너지'라는 단원을 접한다. 늘 접하던 일과 과학적인 일을 ... ...
한국과학문화재단 조규하 이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답답했던 시절이 떠올라 잠시 말을 멈췄다. 이처럼 허울 뿐인 과학문화재단으로
전락
한데는 이유가 있었다.“후진국이 중진국이 될 때, 또 중진국이 선진국이 될 때 어느 나라건 과학기술의 발전을 국가적 과제로 삼지 않은 나라는 없습니다. 일본은 과학기술 문물을 받아들이기 위해 명치유신 ... ...
텔레비전의 등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그에게 제안했다. 그는 자신이 발명한 텔레비전이 백화점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쇼로
전락
하는 것이 싫었지만, 대중들의 반응도 볼겸 못이기는 척 승낙했다. 1926년 1월 26일 텔레비전은 마침내 대중 앞에 섰다.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비록 화면은 작고 어두워서 영상이 겨우 보일 정도였으나, 하루 3번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된다. 그들은 선대로부터 지식을 전수받지 못해 미신에 좌우되는 야만적인 수준으로
전락
하며, 자신들이 몸담고 있는 세계가 우주선이라는 사실조차 깨닫지 못하게 된다. 그 러나 선각자와 같은 인물이 등장해 비로소 자신들의 실체를 파악하고 다시 우주 개척의 길에 나 선다는 내용이다. 외계인이 ... ...
3. 고래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국제포경위원회도 설립된지 50년이 지났지만 자리를 잡지 못하고 유명무실한 존재로
전락
하고 말았다.포경보다 환경파괴가 더 문제대체 고래는 매년 얼마나 희생되고 있으며, 얼마나 남아 있을까.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1931년 포경규제협약이 체결되던 해에는 4만3천마리의 고래가 희생됐다. 또 ... ...
신들이 노닐던 신라의 옛 숲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지배하는 인간중심주의적 산업사회에서는 그저 입장료를 내고 관람할 대상으로
전락
하고 말았다. 신라인이 부여했던 신성(神性)은 간 데 없고 오래된 나무, 역사적 사연을 간직한 평범한 관광 명소로서 그저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을 뿐이다.여근곡 숲도 마찬가지이다. 과거보러 한양 가던 선비가 ... ...
평화를 향한 과학자의 몸짓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이상 전쟁은 안된다’(No More War, 1958년 출판)에서 과학이 어떤 과정을 통해 전쟁의 시녀로
전락
해갔는지를 적나라하게 고발하고, 과학이 전쟁에 봉사할 것이 아니라 평화의 시녀가 돼야함을 역설했다.그러나 이전부터 폴링의 사회 참여에 대해 부정적이었던 칼텍의 이사회는 폴링에게 소속 학부의 ... ...
정보 전도사들이 주장하는 디지털사회의 신화들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공간이 현실세계와의 긴장 관계를 놓아버릴 때 개인주의화의 촉매제로
전락
할 우려도 항시 존재하고 있다.지적 재산권은 승화될 것인가“나에게서 어떤 아이디어를 받은 사람은 - 마치 내 초에서 불을 붙여가는 사람이 내 초의 불빛을 조금도 흐리게 하지 않고서도 자신의 초에 불을 밝힐 수 있는 ... ...
외계인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개념이 돼버렸다. UFO와 함께 '사이비 과학'의 불명예스런 딱지가 붙어 천덕꾸러기로
전락
한 느낌마저 있다.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우주의 어느 곳인가에 외계인이 실제로 존재할 가능성을 끈질기게 추구하는 노력이 끊이지 않고 맥을 이어왔다.대표적으로 최근 영화 '콘택트'는 미국에서 실제로 ... ...
외래 생물종 각축장 한반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황소개구리는 식용으로 이용되기는 커녕 사료만 축내는 ‘돈 안되는’ 골치거리로
전락
했다. 사람들이 그렇게 ‘즐겨’ 찾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황소개구리는 결국 하천에 방류되는 ‘찬밥’ 신세가 됐다.문제는 여기서 발생했다. 황소개구리는 기존의 토착 생물들을 닥치는대로 먹어치우는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