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발화에 필요한 자극의 역치가 낮다. 뉴런에서 발화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일정 세기 이상의 자극이 필요한데, 청소년의 뇌는 이런 발화에 필요한 자극의 세기가 성인 뇌에 비해서 작다. 김주현 한국뇌연구원 정서인지질환 연구그룹 선임연구원은 “쉽게 말해 물의 끓는점이 낮은 것”이라 설명했다. ... ...
-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 AI, 결과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방식이 필요한 학문이다. 그래서 아주 오래전부터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하지만 더 이상은 아니다. 구글 딥마인드 연구팀이 개발한 기하 증명 인공지능(AI) ‘알파지오메트리’가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출제 문제에 놀라운 해결력을 보였기 때문이다. 그 내용은 2024년 1월 17일 국제학술지 ... ...
- [컬쳐] 태초에 그 논문이 있었다 막스플랑크의 양자론을 이해하는 법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한국에서만 높은 건 아닙니다. 미국은 2018년에 이미 양자법을 제정하고 현재 연간 1조 원 이상을 양자 과학 분야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영국도 2023년 3월, ‘국가 양자 전략’을 발표해 앞으로 10년 동안 약 4조 원을 투자하겠다 밝힌 바 있죠.이처럼 세계가 앞다퉈 양자 과학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 ...
- [SF소설] 엔딩의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호수를 두 바퀴 더 돌면서, 아리는 마치 어른이 된 정우와 함께 걷는 것 같았다. 그는 이상하게 너그럽고 때때로 생각 없던 그녀의 옛 친구 정우와는 아주 달랐지만, 결국 우리 모두는 어른이 되면서 조금씩은 모르는 존재에게 몸을 빌려주고 조금씩은 내적으로 잠드는지도 모른다.어째서 그런 생각이 ... ...
- [과학뉴스] 일본 노토반도에서 규모 7.6의 강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전달되죠. 첫 지진 이후 이시카와현에는 높이 5m의 쓰나미가 발생했고, 이틀간 규모 1 이상의 여진이 218회나 발생했어요. 지진의 여파는 우리나라에까지 미쳐, 강원도 묵호항에서도 높이 0.85m의 쓰나미가 관측되었지요. 교토대학교 우메다 야스히로 명예교수는 “노토반도 지하에 고여있던 물과 ...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세상이 너를 중심으로 돌지 않아도 괜찮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멈춰 있는지 아니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지 구별할 수 없다고 말했어요.이제 누구도 더 이상 지구가 온 세상의 중심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어떤 이들은 지구, 더 나아가 인간은 우주에서 보잘것없다고 말하기도 해요. 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지구가 세상의 중심은 아니어도, 인간과 ... ...
- 좋은 타구 나타내는 지표 배럴 타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타구’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MLB 2015시즌에 나온 모든 타구 중 타율 5할, 장타율 15할 이상인 공들을 분석해 타구 속도가 약 158km/h 이상, 공의 발사 각도가인 타구를 배럴 타구라고 정의했다. 공의 속도가 158km/h보다 빠를수록 공의 발사 각도의 범위는 더 넓어지기 때문에 공의 속도가 약 187km/h일 땐 ... ...
- 전술의 신 5. 승리 비결은 선수들의 노력수학동아 l2024년 03호
- 파란색 선처럼 뒤이어 먹이를 찾아가는 개미의 수가 0에 가까웠다. 그런데 500마리 이상일 때부터는 앞서 먹이를 찾으러 간 개미들이 페로몬을 잘 보충했을 때 빨간색 곡선처럼 개미의 수와 비례해서 높아졌다. 개미의 수가 같아도 앞서서 페로몬을 뿌려준 개미가 많으면 뒤이어 페로몬을 보충하는 ...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전략을 짜야 이길 수 있다. 또 모드마다 다른 전략을 써야 한다. 예를 들어 보석을 10개 이상 모은 뒤 15초 동안 잃어버리지 않고 버텨야 이기는 ‘젬 그랩’ 모드는 보석을 모으는 브롤러와 공격과 수비를 하는 브롤러로 역할을 구분해야 유리하다. 반사의 법칙을 활용해 총을 잘 쏘는 능력을 ... ...
- [기획] SUPER SONIC, 조용히 소리보다 빠르게, 초음속 비행기의 미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후로 전투기를 포함한 수많은 비행기가 초음속으로 나는 데 성공하면서 초음속 비행이 더이상 특별한 기술은 아니다. 그러나 음속보다 느린 ‘아음속’ 여객기를 탈 때마다 우리는 생각한다. 초음속기로 여행하는 시대가 언젠간 오지 않을까. 나아가 총알보다 빠른 극초음속기도 만들 수 있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