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
약제
약물
약품
의약품
의약분업
분업
d라이브러리
"
의약
"(으)로 총 915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회복은 백신+마스크와 함께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걸쳐 접종을 완료해도 2개월 이후부터 백신 효과가 떨어진다는 분석 결과를 미국 식품
의약
국(FDA)에 제출했다. 대신 추가 접종을 통해 백신 효과를 최대 95%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밝혔다. FDA 자문기구 역시 10월 14일 모더나 백신 접종자에게 추가 접종을 권고했다. 한국 정부는 고령층과 의료기관 ... ...
[융복합 파트너] 새로운 길 개척한 분자구조의 설계자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좌우대칭을 이룬 두 종류의 구조를 말한다. 합성 과정에서 같은 양이 만들어지지만,
의약
품 등에 사용되면 치명적인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반드시 한 종류는 걸러내야 한다. 이 교수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촉매의 구조를 설계했고, 인이 포함된 유기 촉매를 활용해 단 한 종류의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과학으로 어루만지는 마음의 병
과학동아
l
2021년 10호
발병 기전 중 초기 단계에 작용하기 때문”이라며 “기초 약물 기전 연구를 통해 기존
의약
품이 가진 한계를 개선할 단서를 찾아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첨단 과학·공학 기술로 밝히는 뇌과학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분자생물학적 현상들은 순차적으로 일어난다. 어떤 약물에 의해 첫 번째 ... ...
[이달의 과학사] 1886년 5월 8일 코카콜라 탄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함께 팔렸어요.미국 남동부의 도시인 애틀랜타에 살았던 존 펨버턴이라는 약제사도 특허
의약
품을 만들려 했어요. 일단 한 번 성공하면 엄청난 돈을 벌어들일 수 있었거든요. 그는 숱한 실패 끝에 1884년에야 괜찮은 신약(?)의 제조법을 발견했어요.이 신약에는 남아메리카에 사는 코카나무의 잎과 ... ...
“하루 만에 몸에 퍼진 미세플라스틱 눈으로 확인했죠”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뒀다. 임 연구원은 “실용적인 연구를 하고 싶다”며 “항체나 펩타이드를 이용한 방사성
의약
품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실험은 매순간 선택을 통해 자신만의 길을 찾아가는 작업”이라며 “전문가로부터 조언을 얻으며 나만의 분야를 계속 개척해 나가고 싶다”고 말했다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세계 네 번째로 구축한 코로나19 영장류 감염 모델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대상으로 전임상시험을 해 더 높은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2016년 미국식품
의약
국(FDA)은 토끼 및 영장류 실험만으로 효능을 입증한 탄저병 치료제를 승인하기도 했다.단 영장류는 가장 비싼 동물 모델이다. 독성 시험에 이용되는 비교적 저렴한 원숭이도 한 마리에 300만 원 정도고, 치매 ... ...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엘사, 자유롭게 얼음을 다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빙정을 둘러싸며 얼음 핵에 다른 물 분자가 결합하는 것을 막아요. 결빙방지 단백질은
의약
품이나 줄기세포를 저온으로 보존할 때 도움이 된답니다. 2000년대 초반 국내에는 물이나 음료를 과냉각 상태로 저장하는 기술이 등장했어요. 물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고 빠른 속도로 내려가면 과냉각 상태가 ... ...
[한페이지 뉴스] 18년만에 승인된 알츠하이머 치료제, 학계는 여전히 논쟁 중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미국식품
의약
국(FDA)이 미국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젠의 ‘아두헬름(성분 아두카누맙)’을 알츠하이머형 치매(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승인했다고 6월 7일(현지시간) 밝혔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가 FDA의 승인을 받은 것은 역사상 다섯 번째다.아두카누맙은 뇌 속 노폐물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 ...
[그래프뉴스] 코로나19로 일회용 포크와 젓가락 생산이 늘어났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먹는 사람이 늘면서 일회용 포크와 일회용 젓가락을 1년 전보다 많이 만들었어요. 식품
의약
품안전처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에서 만든 일회용품의 생산액*은 2조 399억 원으로, 전년보다 235억 원 증가했어요. 제품별로 보면 일회용 포크와 일회용 젓가락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어요.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있지만 타미플루처럼 새로운
의약
품이 계속 등장하는 것이 문제다. 강으로 배출된
의약
품들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널리 쓰이는 배터리 소재, 리튬도 최근 한강에서 발견됐다. doi: 10.1038/s41467-019-13376-y 류종식 부경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