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공학"(으)로 총 9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2020년. 20세기 수많은 SF소설과 영화에서 먼 미래의 배경으로 삼은 상징적인 해다. 그리고 이 SF작품들은 과학기술의 발전이 바꿔놓을 2020년 장밋빛 미래를 그리며, 그와 함께 상상력 번뜩이는 아이템들을 수없이 등장시켰다. 때론 허무맹랑하지만 때론 현실의 공학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며 실제로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 발명품이 있었다. 이 발명품을 이용하면 매일 비타민A 결핍으로 사망하는 어린이 수백 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발명품은 개발된 지 20년이 지나도록 한 번도 쓰이지 못했다. ‘비운의 주인공’은 황금쌀(Golden Rice). 그런 황금쌀이 드디어 식탁 위에 오를 가능성이 생겼다. ‘20년 만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우리나라에 뇌를 맡기는 ‘뇌은행’이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돈을 맡기고 찾는 은행처럼 설마 뇌를 맡기고 찾는 그런 곳일까요? 어쩐지 으스스하다고요? 뇌은행이 대체 뭐하는 곳인지, 뇌은행을 취재해 봤습니다. 인간 뇌는 약 1000억 개의 신경세포로 구성돼 있고, 그 사이를 1000조 개의 시냅 ... ...
-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7호
- 빵을 만들려면 일단 밀가루가 필요한데…. 밀가루를 못 먹는 사람도 있다더라고? 아직 시작도 안 했는데 벌써 위기라니! 누구나 먹을 수 있는 빵을 만들 수는 없는 걸까? 쫄깃쫄깃한 빵의 비밀, 글루텐구수한 냄새와 함께 폭신폭신하면서도 쫄깃쫄깃한 빵을 한입 베어 물면 행복해져요. 이런 빵 맛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블랙홀은 맞았다. 과학자들은 사실상 지구 크기의 전파망원경을 만들어 지구에서 5500만 광년(빛의 속도로 5500만 년 이동해야 닿을 수 있는 거리) 떨어진 우주 공간에서 태양보다 65억 배 무거운 블랙홀을 마침내 관측했다.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의 지난해 예상이 그대로 맞아 떨어졌다.중력파 예상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인공지능은 자손을 낳아서 길러본 경험이 없습니다. 그런 인공지능이 사람을 돌보는 일이 가능할까요? 지난 호에는 반란을 일으키는 인공지능에 관한 이야기를 했는데, 이번에는 거꾸로 인간을 돌보는 인공지능이 있을 수 있는지 생각해보겠습니다. 편집자 주 본문은 해당 작품의 스포일러를 담 ... ...
- 돼지가 인간 췌장 가진 쥐 출산? 불붙은 키메라 배아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조만간 인간의 췌장을 가진 쥐가 돼지의 뱃속에서 태어날지도 모르겠다. 7월 26일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나카우치 히로미쓰 일본 도쿄대 교수팀이 사람과 동물의 이종간 배아 실험에 대해 처음으로 자국 정부의 허가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생쥐의 배아에 사람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우리가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바다 생물이 보물이 될 수도 있구나! 그럼, 다음 장소로 이동해 볼까? 이번에 찾아낼 보물은…. 우리 몸속에 집어넣을 수 있는 보물이라고? 우리 선조들이 민어의 부레로 풀을 만들었다면, 현 대 과학자들은 홍합으로 접착제를 만들었어요. 홍합은 거센 파도 속 ... ...
- [과학뉴스]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과학동아 l2019년 10호
- 미국 연구팀이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새로운 약물 전달 기술을 개발했다. 제임스 콜린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명공학부 교수팀은 3세대 유전자가위로 불리는 크리스퍼(CRISPR)를 이용해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소재를 만들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 7만 종 척추동물의 ‘유전자 설계도’를 만드는 ‘척추동물유전체프로젝트 (VGP)’가 최근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지금까지 진행된 다른 유전체 프로젝트에 비해 설계도의 정확도가 월등히 높다. ‘10마리에서 4마리로’. 지난 40년간 전 세계 척추동물 개체수는 60%나 감소했다. 반백년도 안 되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