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반
배반
겁탈
능욕
강간
과실
잘못
d라이브러리
"
위배
"(으)로 총 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콜레라균 꿀꺽 마신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것이라는 추측만 가능할 뿐 오늘날 진리로 받아들여지는 코흐의 학설에 정면으로
위배
되는 일이 일어난 이유는 지금도 정확히 설명할 방법이 없다.그러자 페텐코퍼는 자신의 이론을 더욱 강력히 주장했다. 하지만 이후 계속된 실험에서 콜레라균이 포함된 음료수를 마신 그의 제자에게 콜레라가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하지만 임상적으로 진단을 내렸을 때 유전자 수준에서는 써봤더니 안나오고, 법칙에
위배
되는 다른 유전자를 썼을 때 적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의준_ 아직까지 유전자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기술 수준이 낮다는 생각이 들군요.홍박사_ 어떤 형질을 결정짓는 유전자라도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기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만남, 한편으로는 타임머신 생각이 나더라구요. 그걸 뭐라고 하죠?상준_ 인과율에
위배
되므로 나와 또 다른 내가 부딪치면 안된다는 것이죠.성환_ 그래서인지 ‘도플 갱어’에서처럼 둘이 만나면 하나는 죽는 상황이 곧잘 벌어집니다.상준_ 그런데 눈에 복제의 표시를 찍는다는 설정은 조금 ... ...
③ '유전자가 변형된 콩' 내년부터 표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동등’하므로 유전자변형농산물에 대해 별도의 표시를 하는 것은 자유무역에
위배
된다는 것이다.다행히 지난 1월말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교역절차 등을 규정한 ‘생명공학안전성의정서’가 극적으로 채결돼 국제 무역에서 유전자변형농산물 표시제가 실시될 수 있는 ... ...
나눗셈으로만 해결하기 어려운 달력 개정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반대가 거셌기 때문이다. 이유는 단 한가지 ‘공일’의 도입이었다. 이것은 안식일과
위배
됐다. 공일을 받아들이면 7일마다 안식일이 되지 않는다.그렇다면 안식일을 지키면서도 그레고리력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은 없을까.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그레고리력에서 4백년은 400×365+9 ... ...
오픈소스 문화의 영웅들 리눅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에 대항해 “아마존의 원클릭 기술독점이 정보공유의 정신에
위배
된다”며 아마존 불매운동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그는 “아마존이 원클릭 기술에 대해 특허를 내고 경쟁사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월드와이드웹과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중대한 장애를 주는 ... ...
가능성 보여준 양자 원격이동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광돌이는 X 공의 양자 상태에 대해 알아낸 것이 없다. 이것이 하이젠베르크의 원리를
위배
하지 않으면서 양자 원격이동이 가능한 이유이다. 측정을 통해 입자의 완전한 양자 상태를 결정할 수는 없지만, 그 상태가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지만 않는다면 양자 상태의 완벽한 전송은 가능하다.비록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운동은 한결같으며 원형으로 이루어져야만 한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선언에 정면으로
위배
되는 것이었다. 때문에 히파르코스는 태양은 원래 한결같은 원운동을 하고 있지만 그 원운동의 중심이 지구에서 약간 떨어진 점에 있다고 함으로써 타협할 수 있었다.원의 중심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위배
하지 않는 범위에서 인간의 명령에 복종해야만 한다.3. 로봇은 제1법칙과 제2법칙을
위배
하지 않는 범위에서 자신의 몸을 보호해야만 한다.이 3원칙은 원래 작품 속에서 로봇의 행동을 논리적으로 타당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정됐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인공지능이나 로봇공학 연구자에 의해서도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한번 없어진 형질은 같은 종에서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는 ‘돌로의 법칙’(Dollo’s Law)에
위배
된다.이러한 견해는 1960년대까지 지속됐다. 그런데 1964년 예일대학의 오스트롬 교수는 자신이 발견한 두발 육식공룡 데이노니쿠스와 시조새가 앞·뒷발의 구조와 기능이 같다는 점에 주목했다.이전까지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