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험실"(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❸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올랐습니다. 목적지는 서울대공원 종보전연구실의 유전자 은행입니다. “동물원 한편에 실험실이 있고, 동물 보전 연구를 한다는 사실에 깜짝 놀라는 사람이 많아요.” 유미현 연구원의 설명입니다. 유 연구원이 두꺼운 철문을 열자 영하 196℃ 액체질소 탱크와 영하 80℃ 초저온냉장고 등 다양한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시점에서 봐도 이미 오래전에 갖춰진 상태였다. 다만 내가 이 기술들을 배우던 당시에는 실험실에서 이론적인 가능성만 모색하는 단계였다. 그때만 해도 핵융합, 양자컴퓨터가 언제 실현되는지 질문이 나오면 “적어도 20년은 기다려야 합니다”라고 답하곤 했다. 학계에서 말하는 20년이란 자신들이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등에서 연구하고 있다. NIF는 미식축구장 3개를 이어 붙인 크기(1만 3500㎡)의 거대한 실험실에 직경 1m의 레이저 빔을 총 192개 설치했다. 연료 캡슐은 지름 2mm로 금속 원통(hohlraum) 안에 들어 있다. 구 모양의 연료 캡슐은 핵융합을 일으키는 연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가득 차 있다. 금속 원통에 ... ...
- [5년 후, 과학은]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 조직공학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정교한 생명을 다루는 낯선 분야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기엔 매우 짧은 시간입니다. 실험실에서 이룬 조직공학의 성과가 병원에서 수많은 환자에게 혜택을 주고 있다는 건 분명합니다. 의생명과학과 공학의 경계에서 인간을 연구하는 매력적인 조직공학이라는 학문에 앞으로도 많은 관심 ... ...
- [이달의 뉴스]줄기세포로 만든 적혈구 사람에 최초 수혈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실험실에서 만든 적혈구를 사람에게 수혈하는 최초의 임상시험이 시작됐다. 성공적으로 시험을 마치고 적혈구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면 주기적으로 수혈을 받아야 하는 환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영국 국립보건연구원(NIHR)은 케임브리지대, 브리스톨대 등 공동연구팀이 줄기세포를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정자와 난자가 만나 만들어진 포유류 수정란은 연속적인 난할(수정란의 분할)을 통해 여러 개의 세포로 나뉘어 ‘배반포(blastocyst)’를 만듭니다. 배반포는 태아가 될 부분인 배아줄기세포와 태반이 될 영양막줄기세포로 이뤄져 있습니다. 성숙된 배반포가 엄마 자궁에 착상한 뒤 배아로서 잘 자랄 ...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냄새 및 오물 처리에 대한 문제가 해결돼야 합니다. 또, 앞으로는 배양육이나 대체육 등 실험실에서 생산하는 육류도 고려해야 합니다. 한편 식물과 함께 키우기 적절한 단백질원은 물고기입니다. 식물에 필요한 유기물을 물고기의 배설물에서 얻을 수 있지요. 하지만 이런 동식물을 키우는 단계에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3 2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2023년 새해를 맞이해 섭섭박사님은 집에 있던 오래된 시계를 보며 1월 1일 00시 00분 00초가 되길 기다리고 있었어요. 괘종시계의 시계추가 흔들리는 것을 바라보며 들뜬 마음을 추스르던 그때! 문득, 섭섭박사님은 시계추를 닮은 재밌는 실험을 해보자고 말했어요. 도전실험어떤 줄이 움직일까?섭 ...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담았습니다. 우주, 생명과학, 동물 등입니다. 이 주제들은 각각 ‘최애 은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미지의 유인원’ 연재로 찾아왔습니다. 현장 과학자들이 자신의 연구분야를 직접 이야기할 겁니다. 독자들이 직접 이야기하진 않았지만, 전독위 밴드에서 활동하는 모습을 보고 ...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진동도 느끼지 못한다. 그런데 사람은 느낄 수 없는 미세한 진동조차도 용납할 수 없는 실험실이 있다. 김선희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QNS) 대외협력팀장은 “실험동에 있는 주사 터널링 현미경(STM)은 주차장, 화장실 등에서 나오는 진동에도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