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살"(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이후 20년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이후부터 쭉, 유전체 연구는 인간을 이해하고, 인간을 인간답게 살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흘러온 거죠. 올해의 마지막 과학동아 특집은 이런 과학의 큰 흐름을 보여드리고자 했습니다. 미래는 본디 불확실하지만 과학의 큰 흐름이 내년을 준비하고, 10년 뒤를 대비하는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동해안에서 발생했죠. 역사상 가장 무서웠던 지진은 어떤 지진일까요? 건강하게 살을 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시아비만학회장 가천대학교 김경곤 교수는 ‘당 5g 다이어트’를 제안했어요. 세 끼 식사를 다 하되, 중간에 먹는 간식은 당 함유량 5g짜리로 선택하는 방법이죠. 당을 덜 먹으면 ... ...
- [과학사 극장] 지석영이 조선에 우두법을 처음 소개했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강하게 반대하고 나섰다. 치명률이 20%였으니, 순전히 계산적으로만 접근하면 굿을 해서 살아남는 아이들은 80%였다. 이는 굿을 해서 천연두를 극복한 사람들이 상당히 많다는 것을 의미했다. 또한 우두법은 접종에만 집중한 방법으로 천연두를 치료하지는 못했다. 서양 근대식 예방법으로 이름을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오르막이라서 속도와 시간 조절을 세심하게 해야 하기 때문인데요. 처음엔 위치가 살짝 달랐고, 그다음엔 속도가 너무 느려서 물고기를 잡지 못했습니다. 그는 조금씩 속도나 시간의 차이를 줄여나가더니 결국 자그마한 모형 산 안에 있는 물고기 떼를 모두 잡았어요. 윤 학생은 전시장에 있는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유충의 유입 여부를 알 수 있다. 곽 교수는 “수돗물 1650L에 깔따구가 한 마리 이상 살고 있기만 해도 그 존재 여부를 알아낼 수 있는 높은 민감도가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2020년 8월, 국립생태원은 eDNA 분석을 통해 DMZ에서 멸종위기 어류 10종의 서식을 확인하기도 했다.실종자 수색부터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어지간히 했으나, 좋은 것을 남과 나누려는 마음 역시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 장단만 살짝 맞춰주면 둥실둥실 위로 떠올라서는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단비를 나누는 이들이 그들이었다―미연들의 선조가 해은들의 선조를 동족으로 끌어들인 이유 역시 정확히 그런 호혜성이었다―. 다른 여덟-다리를 ... ...
- [기획] 생명체 찾아 목성의 달로! 탐사선 주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물)’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했어요. 바다에는 외계 생명체가 살 확률이 높아 과학자들이 주목하고 있지요. 최근 유럽우주국(ESA)은 바다와 생명의 흔적을 파헤치기 위해 목성의 위성●으로 탐사선 주스를 쏘아 보냈어요. 외계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주스의 야심찬 항해, 함께 해 볼까요 ... ...
- [인터뷰] 수학을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수학자가 되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어렸을 때부터 함께 수학 문제를 풀고 이야기하는 게 일상이었지요. 오빠들과 각각 5살, 3살 터울이라 저한테는 어려운 문제였지만, 같이 하고 싶다는 생각에 둘이서 문제를 풀고 있으면 옆에서 문제의 설명을 들었어요. 오빠들이 봤던 를 읽으며, 문제와 퀴즈도 풀었어요. 그러다 보니 ... ...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답했습니다. 그는 과학과 비교해 설명했습니다. “화성에 100년 뒤에 사람이 살 수 있을까? 암을 정복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정답은 시간이 흐르면서 변합니다. 지금은 불가능해도 기술이 발전하면 언젠가 가능해질 수 있으니까요. 이건 불가능과 가능의 문제죠. 그런데 수학은 영원히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많은 윤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 사례가 많지 않다 보니 의학적인 처치로 살 수 있는 아기를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인공 자궁을 통해 키우는 게 맞느냐는 지적이 학계에서는 계속 제기되고 있습니다.영화처럼 완전하게 자궁을 대체할 수 있는 ‘팟’의 경우 더 많은 논의가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