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외
안팎
국내외
부부
내외간
내외분
d라이브러리
"
부부간
"(으)로 총 212건 검색되었습니다.
싱글족의 함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평생을 홀로 산 쇼펜하우어는 “유부남은 존재의 무게를 모두 지고 있고 독신자는 그 반만 지고 있다. 뮤즈에 헌신하는 자는 누구나 독신이 돼야 한다. 철학자란 자기 시간이 필요한 사람이다”라면서 나름의 독신예찬론을 펼쳤다. 독일 작가인 카프카는 결혼을 동경했지만 소설을 쓰는데만 집중하 ... ...
그녀에게 자꾸만 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별도 달도 따준다고는 못 해. 찬물에 손도 담그게 될 거야. 노력할게. 사랑만으로 살 수 없을 때 더 노력할게. 고마워. 내 곁에 있어줘서. 사랑해.”얼마 전 막을 내린 한 드라마에서 무릎을 꿇은 채 반지를 손에 들고 프러포즈를 하던 여주인공의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부모의 반대를 무릅쓰 ... ...
여인의 초상 제4화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15.....래빗과의 만남은 그것으로 끝이라고 생각했다.래빗은 아내인 로즈에게조차 자신의 증상을 설명하지 않았던 것이다. 대통령 부부의 금슬에 문제가 있다는 소식은 듣지 못했다. 하여튼 로즈의 머리카락을 한 움큼이나 뽑았으니 내가 대통령 서재를 방문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차라리 홀가분했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제3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심층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을 기준으로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78.6세이며 2020년경에는 81.5세에 이를 전망이다. 그러나 질병 없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건강수명’은 평균 68.6세에 불과해 죽기 전 10년 정도는 병치레를 하며 보낼지 모 ... ...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밑변이 3cm, 높이가 4cm인 직각삼각형의 빗변은 얼마인가? 잘 알다시피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제곱은 다른 두 변의 제곱의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적용하면 32+42=25인데, 25=52이므로 답은 5cm가 된다.직각삼각형 세 변의 관계에 대한 지식은 이미 기원전 2000여년 전 바빌로니아의 점토판 ... ...
러시아 스파이를 죽인 독극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최근 전 러시아 스파이 알렉산드르 리트비넨코의 사인은 방사성 동위원소 중 하나인 폴로늄210 중독으로 판명됐다. 퀴리 부부가 발견한 이 물질은 자연계에 소량 존재하지만 세계에서 한 해 100g 정도가 원자로나 우라늄 광산에서 생산된다. 방사능: 불안정한 폴로늄 동위원소는 양성자, 중성자, 전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멀미는 안하셨나요?”ISS를 지키고 있는 우주인들이 반갑게 맞이한다. ISS에 도착한 여러분은 이제 난생 처음 겪어보는 우주생활을 즐길 수 있다. 그동안 사진으로만 봤던 지구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비디오카메라에 담아 보자. 둥둥 떠다니는 사과를 베어 먹으며 우주인들과 우아한 저녁식사도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수고했다, 코비야” - 존 매더, 조지 스무트1990년대였다. 영국의 저명한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박사가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발견”이라며 치켜세운 연구가 있다. 세기는 바뀌었지만 호킹 박사의 ‘예언’대로 그 연구가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영예를 안았다.처음 9 분간미국 항공우주국(NASA) ... ...
1. 한반도 주변 속살 벗겨보니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일찍이 헤라클레스의 기둥 서쪽에 하나의 섬이 있었다. 리비아와 소아시아를 합친 것보다 더 큰 섬으로, 이 섬과 맞닿아 있는 다른 섬들을 통해 대서양에 둘러싸여 있는 반대편 대륙으로 갈 수 있었다. 이 섬은 주변 섬들과 리비아, 이집트, 유럽의 티레니아 근처까지 복속시킨 거대한 제국의 심장 ... ...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젓가락으로 깨알을 집을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더구나 깨알 수천 개를 정확하게 한 줄로 늘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젓가락질 고수’에 가깝다.여기서 조금 더 나가보자. 머리카락 굵기의 1만분의 1밖에 안 되는 입자를 원하는 모양대로 늘여 세운다면?나노입자제어기술연구단을 이끄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