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체"(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직접 만드는 디지털카메라 ‘빅샷’으로 찰칵 찰칵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1호
- 배우고, 재미있게 사진 찍게 하기 위해서였어요. 드라이버로 나사를 조이면서 카메라 본체와 회로판, LCD 디스플레이, 배터리, 렌즈, 3차원글라스 등을 끼워 맞춰 카메라를 만든답니다. USB로 컴퓨터에 연결해 충전할 수 있어요. 또 카메라 손잡이를 돌리면 자체적으로 충전할 수도 있답니다. 회전하는 ... ...
- 귀뚜라미는 왜 수컷만 노래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연주와 비슷해요. 활을 현에 비빌 때 만들어진 소리가 바이올린 본체에 전달되면 본체가 울림통이 되어, 진동하면서 더 크게 소리를 내요. 귀뚜라미도 활, 현, 울림통 역할을 하는 기관이 있어요. 귀뚜라미 수컷의 앞날개의 윗부분에는 가로로 난 줄이 있는데, 이 줄이 바이올린의 현 역할을 해요. ... ...
- [hot science] 천문학자가 본 ‘인터스텔라’ 중력은 차원을 넘나들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쿠퍼는 자신이 탄 우주선을 분리시켜 블랙홀 안으로 밀어 넣고 아멜리아가 탄 우주선 본체를 에드워드 행성으로 보내는 데 성공한다. 이론적으로 제시된 ‘펜로즈 과정’을 이용한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영화 속 장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가 있다”며 “한 번 더 영화를 보며 매 장면을 곱씹고 ...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날씨가 추워지면 광합성을 하기 쉽지 않아. 게다가 추위에 잎들이 얼기라도 하면 식물 본체까지 큰 해를 입을 수도 있고 말이야. 그래서 식물은 호르몬을 조절해 잎의 엽록소가 사라지게 만들어. 그러면 잎 안에 있던 다른 색소들이 모습을 드러내 잎이 붉고 노랗게 물들지. 식물은 더 이상 광합성을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러시아 수학자의 이름을 딴 ‘소볼레프’라는 소형 슈퍼컴퓨터가 있었다. 작은 본체 5개가 결합된 형태로, 한 번에 92가지나 되는 일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한다.이번 카이스트 탐방은 수학의 쓰임새에 대한 궁금증을 풀고, 슈퍼컴퓨터를 직접 보는 특별한 경험이었다.최영준 기자의 첨삭 포인트김지원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있다. 그래서 힉스 입자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했다. 우리는 힉스 입자라는 그림자를 보고 본체를 확인한 것이다.오해 2 | 수상자들이 궁극의 ‘질량 공식’을 완성했다?이번 노벨상을 두고 “우주가 질량을 얻는 과정을 밝혀냈다”거나 “질량을 주는 입자를 이론적으로 예측했다”고 설명하는 글이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성사시킬 수 있었다. 쎄트렉아이는 소형 지구관측 위성 시스템 기술과 관련해 인공위성 본체, 전자광학카메라, 그리고 위성관제 및 영상 수신처리 지상국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을 확보해 왔다. 라작샛 이후 아랍에미리트로부터 두바이샛 1호와 2호, 그리고 3호를, 스페인으로부터 데이모스 2호를 ...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네 그룹으로 나눠 진행된다. 지난해 예선을 거쳐 A, B 두 그룹을 선발했다. A그룹에선 로봇 본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개발하는 팀들이 경합을 벌이며, B·C그룹은 로봇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만 가상현실에서 연구한다. A그룹이야말로 사실상 가장 주목받는 팀들이 모인 것으로, 예선을 거쳐 모두 7개 ... ...
- [화보] 기하학, 걸작을 짓다!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받아 이 성당의 지붕을 만들었다.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성당을 만들기 위해 그는 건물의 본체와 지붕 사이에 작은 돌을 끼워 넣었다. 작은 돌이 지붕을 떠받치는 지지대 역할을 해서 지붕이 가벼워 보이도록 설계한 것이다.롱샹 성당의 가장 큰 특징은 어느 쪽에서 봐도 그 모양이 다르다는 점이다. ...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포르투갈은 실제로 산불 후에 소나무숲이 형성됐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떨까.나무 본체는 타버렸다고 해도 뿌리가 살아있다면 일종의 나무싹인 맹아가 올라온다. 재앙이 지나간 자리에도 남아있는 씨앗이 있다산불이라는 재앙 전후로 숲이 어떻게 바뀌는지 살피기 위해 강원도 한계령에 있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