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형
돌연변이
품종
변화
다양
d라이브러리
"
변종
"(으)로 총 200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베스트소설’로 선정된 도서다. 인간의 눈을 피해 깊은 바다에서 진화해 육지로 올라온
변종
동물이 인간을 공격하기 시작했다는 가상 소설이다. 해양생물학자 6명은 인류를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건 사투를 벌인다. 이 책은 지금까지 나왔던 SF 스릴러물과 다르게 예측할 수 없는 전개와 반전으로 ... ...
자전거 40년 노하우를 한 권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 로드 바이크의 과학 |후지이 노리아키 지음 | 손은환, 강지운 옮김 |엘빅미디어 | 320쪽 | 1만 5000원누구나 어린 시절 세발자전거나 네발자전거 ... 저자는 왜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일이 어려운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어째서 쉽게
변종
이 나타나는지 바이러스에 대한 모든 비밀을 밝힌다 ... ...
올 겨울 고비 맞는 신종플루 궁금증 6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아니더라도 의심증상만으로 타미플루를 처방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변종
바이러스가 생길 위험성은 더 커지고 있다.정부가 이런 방침을 세운 이유는 뭘까. 신종플루 환자는 가능한 한 증상 초기에 타미플루를 복용해야 하는데, 의심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예측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3종류를 배양한 뒤 섞어 만든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변종
이 빨리 생겨 어떤 바이러스에 감염될지 알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WHO는 그해 전 세계에서 유행하는 독감의 패턴을 분석해 독감 백신에 들어갈 바이러스 후보군을 결정한다. 체내에 기억세포 만드는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광우병이 확산됐다. 1995년에는 광우병에 걸린 쇠고기를 먹은 사람이 최초의 인간광우병(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사망해 영국 보수당 정부가 몰락하는 계기가 됐다. 저자는 이처럼 일련의 굵직굵직한 사건 속에서 이 희귀하고도 이상한 질병에 대항하는 과학자들의 투쟁 ... ...
Why Are Flu Viruses Seasonal?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계절적 독감에 비해 치사율이 높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새로운 감기 바이러스의
변종
에 대해서 아직 어떤 인간도 면역력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이는 올해 우리가 매우 높은 독감 감염률을 보게 되리라는 것을 의미한다. H1N1 바이러스는 여름임에도 불구하고 북반구에서 여전히 확산되고 있는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아미노산 서열을 비교해 보면 몇 군데가 다르다”고 밝혀 신종 플루 바이러스는
변종
에 따라 병원성에 차이가 클 수 있음을 시사했다. 큰그림 보러가기 인플루엔자는 왜 겨울에 창궐할까 늦여름 무더위가 끝나가는 게 아쉬운 요즘이다. 날이 춥고 건조해지면 신종 플루가 급증할 거라는 예상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유전자가 다르다”며 “외국의 A형간염 바이러스와 비슷한
변종
일 것”이라고 말했다.
변종
바이러스가 기존 바이러스보다 더 심한 증상을 일으켰을지 모른다는 추측이 가능한 대목이다.A형간염 바이러스는 음식물을 통해 몸속으로 침입한다.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위에 들어오면 강한 산성을 띠는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지난 7월에 내린 비는 오랜만에 찾아온 장맛비였다. 하지만 게릴라성 집중호우로 변한 ‘
변종
장마’였다. 한 달 동안 전국 곳곳에는 2~3일에 한 번씩 ‘물폭탄’이라고 불릴 정도의 집중호우가 쏟아졌다.일반적으로 장마전선은 한 번에 많은 비를 내리면 수분량이 줄어 빗줄기가 약해진다. 또 다시 ... ...
난쟁이 인류 '호빗(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150cm 내외이지만 뇌 크기는 1000cc가 넘는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설사 호모 에렉투스의
변종
이라고 하더라도 뇌 용적이 500~650cc는 돼야 한다. 따라서 많은 인류학자들은 ‘플로레스의 작은 숙녀’가 이상소두증(microcephaly)에 걸린 피그미족 현생인류라고 주장했다. 이상소두증은 뇌가 비정상적으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