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법률"(으)로 총 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등 새로운 법률의 입법, 기존 법령의 개정을 위한 노력이 더욱 시급하다. 정부는 기존 법률 체계에 최소한의 변경을 가해 점진적으로 자율주행자동차를 둘러싼 법적 이슈를 해결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규제의 부재와 부정합이 큰 현재 상황에서 종합적·체계적 해결이 아닌 이런 방식의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도량형제를 도입한 ‘대한제국 도량형규칙’이 제정됐다. 이 규칙은 1905년 ‘대한제국 법률 제 1호’로 제정됐다. 1909년(한일합병으로 일본에게 국권을 침탈당하기 한 해 전) 도량형법을 개정하고 돌연 일본식 도량형제를 도입하면서 일본식 질량 단위인 ‘돈’도 혼용되기 시작했다. 한편 1894년에 ... ...
- 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법에 GDPR보다 더 강력한 규칙이 일부 담겨있기 때문이다. 현재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은 크게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 위치정보법 등 네 가지로 나뉘어 있다. 이들 법에는 GDPR처럼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열람, 정정, 삭제, 처리 정지를 요구할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 ...
- 독성물질 보툴리눔, 염기서열 분석 의무화 해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와 관련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보툴리눔 독소 균주를 포함한 고위험병원체를 분리하거나 이동할 때는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의무적으로 제출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보툴리눔 균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 ...
- 인권을 지키려는 인류의 노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많이 인용되는 인권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국제조약을 비롯해 많은 나라의 헌법과 법률에 기초를 제공했다. 공간적 관점_ 내전이 만들어 낸 난민 문제 먼저 난민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2003년부터 벌어진 중동의 이라크 전쟁과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돼 중동국가 및 북아프리카로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다. 의학 분야를 전문적으로 그리는 작가가 거의 없고, 일러스트 저작권에 대한 법률도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다. 작가가 의학적 지식을 충분히 이해해 세밀화로 표현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보통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도 걸림돌이다. 윤 교수는 “국내 메디컬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헌법에 명시된 환경권을 보호하기 위해 국회에서는 환경 정책 기본법, 폐기물 관리법 등 법률을 제정하고 정부는 관련 규제 정책을 통해 이를 집행한다. 시민단체는 환경문제와 관련해 가장 활발하게 목소리를 내는 집단 중 하나다. 일상적인 캠페인뿐 아니라 사안에 따라서는 집회나 시위를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어느덧 인공지능과 동의어가 됐다. 의료, 법률, 금융과 같은 전문분야는 물론이고, 축구나 예능에서조차 인공지능을 뜻하는 용어로 알파고가 쓰인다. 심지어 최근에는 인간이 제공한 데이터 없이, 무(無)에서 출발해서 혼자 가상 대국을 하며 스스로 기력을 쌓았다는 알파고 ‘제로(Zero)’가 ... ...
- Part 1. 여성화장실 줄만 너무 길어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시간 총합이 가장 짧도록 나눌 때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구했어. 결과는 아래와 같아. 법률이 정한 변기 수의 비율과 비교해봐. 넌 어떤 설계도가 맘에 드니? 사실 더 효율적이고 평등한 방법도 있어. 대변기를 남성과 여성이 함께 쓰는 거지. 그러면 남성화장실은 널널한 반면 여성화장실은 줄이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국회에 제출되면서 DNA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졌지만, 법률 제정까지는 이르지 못했습니다.DNA 정보에 이렇게 예민한 이유는 몇 가지 윤리적인 문제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우리나라는 ‘피고인 또는 피의자는 유죄판결이 확정될 때까지는 무죄로 추정한다는 원칙’인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