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이런 현상은 사람이든 컴퓨터든 똑같다. 소인수분해를 쉽게 하는 알고리듬이 아직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작은 소수부터 차례로 나눠떨어지는지 확인하는 수밖에는 다른 도리가 없다. 즉 두 개의 소수를 곱하기는 쉽지만, 반대로 어떤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것은 어렵다는 말인데 ... ...
- [과학뉴스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육식공룡의 성체는 일반적으로 거대 초식공룡을 먹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번 발견을 통해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은 청소년기에는 작은 공룡을 사냥하는 중간 포식자였다가, 성장하면 거대 초식공룡을 사냥하는 최상위 포식자로 먹이의 종류가 바뀐다는 점이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에 ... ...
- 휴머노이드 로봇의 두 가지 트렌드... 꿈vs.실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기업에서 공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모습을 가만히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트렌드를 발견할 수 있다. ‘휴머노이드(인간형)’라는 이름에 걸맞게 인간과 닮았거나, 표정도, 얼굴도, 심지어 머리도(!) 없는 모습이거나. 이들의 모습 뒤에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바라보는 각 기업의 시선이 담겼다.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26일 KAIST 대운동장 실외 육상 트랙에서 측정됐다. 박 교수 연구실 한 켠에서 그 인증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100m 달리기뿐만 아니라 트레드밀 위에서 측정한 실내 주행 속도도 초속 6.5m로 하운드가 비공식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박 교수의 안내에 따라 하운드의 성능 개선 작업이 ... ...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방출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인류가 보낸 소수 배열과 같은 비자연적 패턴을 누군가 발견한다면, 그것이 인공적인 전파라는 것을 눈치챌 것이란 가정입니다. 한국의 METI 활동가언해피서킷 작가를 만나다 한국에도 외계 생명을 찾으려는 이들이 있습니다. 과학책방 갈다 대표이자 천문학자인 이명현 ... ...
- [과학사 극장] 레이첼 카슨은 과학적 전문성이 부족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실험실에서 이뤄지는 과학 연구와 현실의 문제들에 대처하는 공공 정책 사이의 간극을 발견하고, 여기에 필요한 정책적 개입과 과학 연구를 제안하는 능력이었다. 카슨은 이런 능력을 대학에서 과학자로 연구하고, 정부 관청에서 과학 저술가로 훈련받는 독특한 경력 가운데 발전시켰다. 그는 1929년 ... ...
- 넓디넓은 바다 속 보물, 어떻게 찾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기록이 단서가 되기도 해요. 해저 지형이 험해 선박 사고가 자주 일어난 바다에서 유물이 발견될 확률이 높거든요. 수중 유물을 훔치려는 도굴범의 행방을 주시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수중 발굴 조사단은 제보나 문헌을 통해 알게 된 지점에 진짜 유물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바다로 나섭니다. 배 ... ...
- 거대 소수 왜 찾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를 발견할까? 현재 가장 거대한 메르센 소수로 추정되는 소수는 6년 전인 2018년에 발견됐다. 누구나 할 수 있으니 거대 소수 목록에 이름을 올리고 싶다면 지금 바로 도전해보자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됐다. 갑자기 등장한 π와 소수 그런데 오일러는 이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놀라운 발견을 했다. 바젤 문제를 소수로 이뤄진 하나의 식으로 유도할 수 있었는데, 여기서 오일러를 당혹스럽게 만드는 수가 나타난 것이다. 바로 이 식의 결과가 자연계에서 가장 완벽한 도형으로 불리는 원을 ... ...
- 편견을 넘는 수학자 이탕 장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노력한다. 당연해 보이는 문제를 계속 의심하다 보면 새로운 문제와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의 목표는 무엇일까. 그가 2021년 중국의 웹사이트 ‘지후’에 올린 글로 추측할 수 있다. “계속 수학 연구를 할 거예요. 저는 제가 평생 수학을 할 것이라고 제 별에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