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박"(으)로 총 37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 한 달쯤 지난 올해 4월 5일, 국제학술지 ‘셀 스템셀’에는 UCSF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반박하는 논문이 실렸다.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팀이 우울증이나 뇌전증 등 뇌 질환이 없이 건강하고, 사망한 지 26시간이 지나지 않은 14~79세 사람 28명의 뇌를 관찰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컬럼비아대 연구 결과 6 ... ...
- 최초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기존 이론을 정리하고 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쓴 책이지 연구서가 아니라며 이 지적에 반박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많은 수학자의 작업을 자신만의 해석으로 통합했고, 책이 나왔을 때 학계에 뜨거운 반응을 일으킨 걸 보면 결코 수준 낮은 수학서는 아니었을 거라고 말이죠. 우리는 그 시대에 살지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전달될지 모릅니다. 즉,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교수 : 그럼 그에 대해서는 어떻게 반박할 것이죠?학생 : 물론 부작용은 있을 수 있지만, 부작용에 대해서 앞으로도 계속 연구해 나가 부작용을 없앨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교수 : 그렇다면 유전자 가위 기술을 사용해야 하지만 ... ...
- [엉뚱발랄 생각 실험실] 영혼도 질량이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연소 전후 물질의 질량이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하며 플로지스톤이란 건 없다고 반박했답니다. 가설3) 영혼은 질량이 없다?!‘영혼이 질량을 갖는다’는 생각은 ‘영혼이 물질’이라는 생각을 바탕에 깔고 있어요. 이렇게 생각한 사람들은 이 세상에 오직 물질밖에 없다고 여겼지요. 하지만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떨어진다’ ‘노인은 사회적으로 부담되는 존재다’ 등 노화에 대한 편견을 과학적으로 반박한다. 저자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의대 교수로 재직하며 경험한 지식과 최신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화에 따른 신체 변화를 소개하며, 몸의 변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라는 조언도 건넨다. 또 뇌 건강을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별명을 갖게 되었답니다. 머리 박치기가 아니라 옆구리 공격?!반면 박치기 주장에 반박하는 의견도 있어요.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머리의 윗부분은 돔처럼 둥글게 솟아 있는 구조예요. 이 모양으로 머리 박치기를 했다면, 머리뼈 두 개가 닿는 면적은 매우 작지요. 그래서 빠른 속도로 부딪칠 때 ... ...
- [공룡은 왜?] 공룡 백과사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세이스모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종으로 발표되었지요. 하지만 일부 학자들은 브론토사우루스가 새로운 종이 아니라고 반박했어요. 1903년 발표된 미국 필드 자연사박물관 리즈 박사의 연구를 근거로, 브론토사우루스가 아파토사우루스에 속하는 종이라고 주장했지요. 논란은 계속되었고, 이후 아파토사우루스라는 주장이 힘을 ... ...
- [공룡은 왜?] 날카로운 발톱과 긴 주둥이로 휙휙! 바리오닉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적합한 구조라고 보았지요. 하지만 카리그 박사와 밀러 박사는 키즈너 박사의 주장을 반박했어요. 일반적으로 사냥을 한 육식공룡이 가장 먼저 먹는 부위가 바로 사냥한 동물의 내장이거든요. 이 때문에 육식공룡이 떠난 뒤에는 바리오닉스가 먹을 수 있는 내장이 남아 있지 않았을 거라고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어 당분간 포경선 추적 작업이 힘들 것 같다”고 반박했다. 시 셰퍼드는 과학동아에 그간 일본의 포경 활동을 막기 위해 오션 워리어가 어떤 활동을 벌여왔는지 3페이지에 이르는 장문의 글을 보내왔다. 지면 사정상 원문을 축약해 독자들에게 소개한다. Defending the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과정은 매우 흔하고 자연스럽다”며 “우리 연구팀 역시 충분한 실험 자료를 토대로 반박 논문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처’ 측은 논란이 불거지자 10월 2일 미탈리포프 교수팀의 논문 온라인판을 업데이트하면서 편집자주를 추가하고 “이 논문의 일부 결과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며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