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맥박"(으)로 총 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과학동아 l2005년 06호
- 하비의 연구가 등장하기 전에 의사들은 갈레노스가 세운 의학체계를 배웠고 그의 이론으로 사람의 몸을 설명했다. 갈레노스는 몸의 작 ... 않은 병아리 등 많은 생물을 해부했다. 그는 이들이 살아있을 때 절개해서 심장의 수축과 맥박을 관찰했고, 이로부터 ‘피의 순환 이론’을 주창했다 ... ...
- 헌혈은 정맥, 맥박은 동맥 - 혈관과학동아 l2005년 06호
- 동맥으로 잰다. 손목에는 엄지손가락 쪽에 노동맥이, 새끼손가락 쪽에 자동맥이 있다. 맥박은 노동맥에서 잰다. 노동맥이 자동맥보다 피부 바깥쪽에 더 가까이 있어서 박동을 뚜렷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노동맥은 손목의 옆부분을 비롯해 손가락을 쫙 폈을 때 엄지손가락과 손목 사이에 생기는 ...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과학동아 l2005년 04호
- 제곱에 비례했다’고 썼다. 갈릴레오는 마지막에는 좀 더 정확을 기하기 위해서 자신의 맥박을 재는 대신 가는 관에 흐르는 물의 양을 측정해 시간을 재기도 했다.갈릴레오는 경사면 실험으로 거리가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등가속도운동 법칙을 제대로 설명했다. 하지만 갈릴레오가 깨끗하게 ...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과학동아 l2004년 11호
- 자율신경계에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고 말한다.그 현상은 금방 눈에 띈다. 평소보다 맥박은 빨라지고 침샘은 마르며 얼굴색이 붉어진다. 근육 경련으로 입술은 파르르 떨리고 호흡은 거칠어진다. 식은땀이 흐르면서 피부 전기저항에도 변화가 생긴다. 거짓말을 한다는 몸의 신호다. 이런 생리 ...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초당 5.6회 발생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된다. 이는 20대의 젊은 사람이 운동 직후 뛰는 심장 맥박수의 2배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사람의 심리를 잘 활용한 경우로 볼 수 있다.소음은 아니지만 물 흐르는 소리를 욕실 용품에 적용해 자연 친화적인 느낌을 갖게 하는 사례도 있다.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고 ... ...
- 03. 과학을 입는다 스마트 의류과학동아 l2004년 07호
- 이때 ‘똑똑한’군복이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군복에 현재의 위치, 혈압이나 맥박 같은 신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부착돼 있어 이 자료가 상황실에 자동으로 전송된다. 상황실에서는 이를 분석해 군의관에게 보내 좀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이는 그렇게 먼 이야기가 아니다. 현재 ...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과학동아 l2004년 05호
- 바세도우(Basedow K A)의 이름을 따서 바세도우병이라고도 하고 미열(微熱) · 발한(發汗) · 맥박 증가의 전신증상과 안구가 돌출하며 갑상선이 붓기 때문에 목의 앞면에 융기(隆起)가 생긴다갑상선의 분비기능을 촉진시키는 뇌하수체(腦下垂體) 전엽(前葉) 호르몬의 하나 TSH라고도 한다 뇌하수체 전엽의 ... ...
- 6. 의료_좌변기에 앉아 건강검진 한다과학동아 l2004년 02호
- 개인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건강진단 의료기기는 이미 개발돼 있다. 혈압, 맥박, 혈당치, 체지방률, 심전도 등 종류도 다양하다. 그러나 의료기기는 아무래도 사용이 번거롭기 때문에 대부분 있으나마나한 존재가 돼버리기 십상이다.그 대안으로 건강진단 의료기기를 반지나 셔츠처럼 만들어 ...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최소12:00 혈중 헤모글로빈 수치 최대PM 3:00 악력, 폐활량, 반사신경 수준 최대PM 4:00 체온, 맥박수, 혈압 최대PM 6:00 소변량 최대PM 9:00 고통 민감도 최대PM 11:00 알레르기 반응 최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만들어내는 에너지의 양이다. 아이들은 단위 그램 당 대사율이 성인보다 높다. 따라서 맥박이나 호흡이 빠르다. 동작도 민첩하고 분주하다.브라운 교수는 “아이들은 어른보다 더 빠른 속도로 사는 것처럼 보인다”며 “이들에게는 세상이 매우 늦게 돌아가는 것처럼 보일 것”이라고 말한다. 그램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