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농"(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안녕~, 난 냉동 기술을 연구하는 당나귀 과학자 동키! 최근 난 최초의 냉동 당나귀가 되어 미래에 깨어나기로 결심했어! 2050년에 깨어나도록 설정해 놓고 내가 가장 좋아하는 먹이인 당근과 함께 냉동 캡슐에 들어갔는데…, 아뿔싸! 캡슐 밖으로 당근이 삐져나가고 말았네?! 어떻게 하면 완벽한 냉동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물의 결정화를 막아라!몸을 차갑게 얼렸을 때 가장 큰 문제는 세포에서 일어나는 ‘수분의 결정화’예요. 우리 몸은 수십조 개의 세포들이 모여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역할을 해요. 하지만 온도가 점점 내려가면 세포를 구성하고 있던 수분이 얼면서 뾰족한 결정 모양으로 바뀌어요. 그럼 마 ... ...
- Part 5. 냉동인간, 우주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생명 연장을 넘어 우주로!많은 사람들이 생명 연장을 꿈꾸면서 냉동 인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미래에는 대부분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장수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인체 냉동 보존술이 냉동 인간에만 쓰이는 건 아니에요. 이미 우주 여행이나 의학 ...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대리암으로 빚어졌다. 방해석은 기후 변화 연구에서도 중요하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를 억제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환경 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지구 전체로 보면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탄산염광물 형태로 암석 속에 갇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집 라돈 프로젝트, 실내 공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라돈 프로젝트, 어떻게 진행됐을까?우리집 라돈 농도를 측정하는 라돈 프로젝트는 지난 3월부터 진행됐어요. 30가정을 선발하는데 100가정 ... 잎은 계속 라돈을 품고 있어, 언젠가 다시 라돈을 방출할 위험도 있답니다. 따라서 라돈 농도를 떨어뜨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환기’랍니다 ... ...
- [과학뉴스] 초미세먼지 원인 이산화질소, 이제는 정확히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가량 초과 측정되고 있다는 사실도 새로 밝혔다. 정 책임연구원은 “정확한 이산화질소 농도 측정은 물론 초미세먼지 및 오존의 생성 원인을 규명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대기환경’ 7월 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doi:10.1016/j.atmosenv.2017.07.01 ... ...
- Part 1. 그 男자의 ‘개기름’ 그 女자의 콜라겐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다. 이 효소와 수용체는 남녀의 피지샘에 모두 분포하지만 남자의 남성호르몬 농도가 여자에 비해 훨씬 높기 때문에 더 활발하게 반응해서 피지 분비가 늘어난다. 김 교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피지 분비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도 남녀 피지 분비량 차이를 만드는 또 다른 ... ...
- Intro. 여성용품 안전성 긴급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여성의 생리는 선택사항이 아니다. 일회용 생리대가 여성의 ‘생활필수품’인 이유다. 그런데 최근 이 생활필수품이 안전성 논란에 휩싸였다. 불안하다고 누구나 값비싼 유기농 순 ... 긴급 진단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여성청결제 6종 성분 분석 최근 일회용 생리대가 안전성 논란에 휩싸이면서 여성용품 전반에 대한 불신이 늘었다. 과학동아는 일회용 생리대처럼 여성의 외음부에 직접 닿는 여성청 ... 긴급 진단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 ...
- [가상인터뷰] 산소가 없어도 18분간 사는 벌거숭이두더지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15분, 산소가 없는 곳에서는 1분밖에 살지 못했어요.반면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산소 농도가 5%인 곳에서는 5시간 이상, 산소가 아예 없는 곳에서는 18분이나 견뎠지요. 게다가 다시 산소를 공급하자 몸에 별다른 손상을 입지 않고 회복됐답니다.어떻게 그게 가능한 거니?연구팀은 산소가 희박할 때 우리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