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혼
혼령
정신
혼
혼백
얼
생명혼
d라이브러리
"
넋
"(으)로 총 93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극비리에 개발된 프로세서는 일급 간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서서히 파괴돼 갔다.
넋
을 잃고 서 있는 사람들은 메인 컴퓨터 화면에 경보음과 함께 나타난 붉은 글자를 보고서야 비로소 정신을 차렸다. I win! My name is Terminator 2000! HaHaHa. 13일의 금요일이면 나타나 모든 컴퓨터를 통제불능 상황에 ... ...
유령은 왜 나타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공동유령(collective apparition)은 여러 사람에게 동시에 나타나는 생자 또는 망자의
넋
이다.유령의 체계적 연구는 19세기 말 영국 심령연구학회(SPR)에 의해 최초로 시도되었다. 5천7백명에게 위기유령에 관하여 질문한 결과를 묶어 1886년 ‘생자의 유령’이라는 책을 펴낸다. 이어서 1889년 SPR은 1만7천명을 ... ...
인간복제병원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찬성론자들은 복제인간에 대한 잘못된 편견을 지적한다. 무엇보다 복제인간을 마치 '
넋
나간 기계적 냉혈한'으로 연상하는 일이 문제다. 복제인간은 출생과정만 다를 뿐 바로 우리 자신과 같은 인간이다. 9개월간 어머니 몸에서 길러지고, 따뜻한 가족의 품에서 자라난다.복제아기는 부모 중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속에 전투진이 재현되고 있을 따름이다.마라톤의 기원 스포츠 정신으로 승화된 병사의
넋
현재 올림픽 경기에 등장하는 마라톤(marathon)은 바로 마라톤전투에서 기원한 것이다. 그리스군이 페르시아군을 격파했을 때 한 병사가 승전보를 알릭 위해 아테네까지 쉬지않고 달려가 "우리가이겼다"고 ... ...
Ⅳ. 카퍼필드의 비밀을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자신의 허리를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돌려놓는다.“세상에 이럴 수가……” 모두
넋
을 잃고 만다. “아무리 마술이라지만 좀 심한 거 아냐?”라는 말이 나올 법하지만, 아무도 입을 열지 못한다.마술은 환상이며 공연예술이다. 무대의 연기자인 마술가는 연극이나 영화의 연기자처럼 실수없이 ... ...
머리 좋아지는 냄새는 없을까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덕분에 가게 주인의 심기는 불편할 때가 많다. 손님들이 보석 살 생각은 안하고 마냥
넋
놓고 앉아만 있기 때문이다.냄새가 마음을 편하게 해준다면 몸의 질병을 치료할 수는 없을까.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냄새가 몸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해 왔다. 가령 기원전 4세기경, '의학의 아버지' ... ...
금성탐사선 마젤란 5년활동 마치고 최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지도의 84%가 완성됐고 이를 본 천문우주과학자들은 처음 모습을 드러낸 금성 표면에
넋
을 잃고 말았다. 그동안 금성탐사에 나섰던 옛소련의 베네라(61년부터 시작 84년 16호까지 금성표면의 1/4정도를 그렸음)와 베가, 미국의 마리너와 파이어니어(모두 25개) 등이 열심히 금성지도를 그렸으나 결과는 ... ...
젊은 패기로 기고만장했던 시절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대학 교수로 있는 김원겸 박사가 사진 한장을 보내왔다. 사진을 받고 나는 한동안
넋
을 잃고 들여다보았다. 그것은 지금부터 35년 전인 1958년 봄, 내가 서울대 생물학과 대학원에 입학한 직후 찍은 사진이었다. 그해 4월 나는 지금 동덕여대 총장으로 있는 김종협 박사와 단 둘이 대학원 생물학과에 ... ...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없는 사람, 최악의 경우에는 반사회적인 인간이 된다고 한다.이야기꾼의 이야기에
넋
이 나간 구석기시대 사람들, 또는 TV나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는 현대인에게서 보여지듯이 사람은 한 순간만이라도 자신의 삶에서 벗어나서 다른 삶에 빠져 보려고 한다. 작가들과 같이 운이 좋은 일부 사람들은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직녀별에 얽힌 사랑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나이 든 아저씨가 오리온성운의 화려함에
넋
을 잃을 수 있으며, 어머니가 아들에게 별의 일생을 이야기 하면서 '만물은 변한다'는 진리를 가르칠 수도 있다."과학자를 키우는데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전공을 불문하고 어렸을 때 별을 보면서 ... ...
이전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