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열차
철도
증기기관차
기관차
선로
증기차
칙칙폭폭
d라이브러리
"
기차
"(으)로 총 40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범인의 숨통을 조이는 수학 공식
수학동아
l
2018년 10호
때 수사 방향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죠. 지금 널리 쓰이는 지리적 프로파일링 아이디어는
기차
안에서 휘갈겨 쓴 한 수학자의 메모에서 시작했습니다. 캐나다 경찰이었던 킴 로스모는 어릴 때부터 수학에 대한 재능이 남달랐습니다. 친구들은 물론이고 선생님까지 두렵게 만드는 수학 천재 로스모는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외진 곳에 있는 만큼 연구소를 가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프랑크푸르트 공항에는
기차
역이 있어서 지방에 가는 게 쉽지만, 오베르볼파흐 근처에는 고속철도역이 없어 지역 열차로 갈아타 하우자흐역에서 내려야 합니다. 거기서부터는 대중교통도 없어서 택시로 다시 20분을 더 가야 합니다. 운이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땅: 듀랑고넥슨이 올해 1월 출시한 MMORPG(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다.
기차
를 타고 이동하던 캐릭터가 시공간이 뒤틀리는 사고를 겪은 뒤 무인도에 도착한다. 이 야생의 세계에서 유저는 동물을 사냥하고 농사를 짓고 건물을 세우면서 문명사회를 일군다. ‘유니티 엔진’ 으로 만들었다. 여기는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남과 북 학생들이 한 교실에 모여 같은 교과서로 수학을 함께 공부하는 모습을 그려본다.
기차
를 타고 대륙을 횡단해 통일한국에서 유럽으로 남북한 학생들이 함께 수학여행을 가는 날을 손꼽아 기대해 본다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줄이고, 이 증기의 압력으로 피스톤을 움직이는 방식이었답니다.와트의 증기기관은
기차
와 자동차 등 운송수단과 공장의 기계를 만드는 기초가 되었어요. 이 덕분에 물건의 생산과 운반이 빨라져 ‘산업혁명’이 일어나게 됐답니다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편안한 저승길을 줄거리: 직장생활 중 과한 음주로 39세에 요절한 주인공 김자홍.
기차
를 타고 저승에 도착한 그는 자신에게 선임된 국선변호사 진기한과 함께 49일 동안 7가지 지옥문을 지나며 이승에서 저지른 죄를 심판받는다. 그런데 첫 번째 ‘도산(刀山)지옥’에서부터 난관이 시작된다. 12월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섞인 나치즘이 성행하기 시작했다. 아버지가 유대인인 그로텐디크는 학대를 피해
기차
를 타고 파리로가 아버지와 재회했다. 재회의 기쁨도 잠시, 그로텐디크는 어머니와 1940년 환경이 열악한 리외르코 수용소에 갇혔다. 이후 유대인 강제수용소를 전전하며 몹시 힘든 생활을 이어갔다.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국경 트리에스테(Trieste) 시에 있습니다. 트리에스테는 로마, 베네치아 같은 큰 도시와도
기차
로 잘 연결돼 있는데요. 트리에스테 중앙역에서 버스를 타면 연구소까지 20분 만에 갈 수 있습니다. 유럽과 제3세계 잇는 이론물리학 허브ICTP는 개발도상국의 과학 연구를 장려하는 목적으로 1964년 ... ...
[DJ CHO의 롤링수톤] U2의 ‘Sunday, Bloody Sunday’ 집게발 무대의 정체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그들에게는 수학이 있었습니다. 시작은 이랬습니다. 어느 날 보컬 보노가 취리히
기차
역에서 집게발 모양의 작은 구조물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무대 건축가 마크 피셔에게 다음 공연에 무대로 만들어 달라고 하지요. 작구조물을 공연을 할 수 있을 정도로 큰 구조물로 만드는 게 어떻게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2만리’를 쓴 프랑스 작가 쥘 베른의 아들인 미쉘 베른이 1888년에 출간한 ‘미래의
기차
’라는 작품에 최초로 등장했다. 기술적으로 불가능했던 당시에는 그저 상상일 뿐이었지만 1980년대 들어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스위스메트로는 1987년부터 2000년까지 13년간 0.1기압의 저진공 터널 안에서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