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관"(으)로 총 3,981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붙어 있지만, 소리를 듣는 역할과는 상관없어요. 반고리관은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평형 기관이거든요. 반고리관 안에도 림프액이 차 있어요. 반고리관은 몸이 기울어지거나 회전할 때 림프액이 흐르는 정도와 방향을 감지합니다. 따라서 움직이는 차 안에서 스마트폰을 보면 몸의 흔들림으로 인해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가치와 노벨상 수상자들의 성과에 대한 지식을 전파하기 위해 설립된 노벨 재단 산하기관이다. 스미스 CSO는 이곳에서 노벨상을 통해 전 세계 차세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는 프로젝트를 기획, 진행하고 있다. 그는 자신이 거는 두 번째 전화에 대해 “(노벨상 수상자들이) 수상 소식을 듣자마자 ... ...
- [4컷 만화] 100년 전 사람 살린 썰매견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대왕고래 등 포유류 240종의 유전 정보를 해독하고 비교하는 프로젝트예요. 전 세계 연구기관 50곳에서 150여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했지요. 스웨덴 웁살라대학교 연구팀이 이끈 연구에선 인간이 가진 유전자 중 10%는 거의 모든 포유류에게서 오랫동안 보존됐다는 사실도 밝혀졌답니다. 용어 설명 ... ...
- [통합과학교과서] 빗자루만 타면 울렁울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있다는 정보를 전달하지만, 실제로 우리 몸은 움직이고 있지 않아요. 그래서 감각 기관끼리 정보 충돌이 일어나 멀미를 느끼게 되죠. 특히 VR 기기를 착용하면 현실 세계에 대한 시야가 완전히 차단되고 가상 세계에 몰입하게 돼요. VR 게임은 이런 몰입감을 주기 위해 급격하게 회전하거나 흔들리는 ... ...
- 기후위기 막고, 수학사 다시 보고 인류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쉬운데요. 놀랍게도 해외의 많은 수학 연구소가 연구원을 직접 채용하지 않고 다른 기관의 수학자가 하는 일을 돕습니다. 수학은 수학자 간의 교류를 통해서 발전하기 때문인데요. 수학자들은 특별한 실험 장비 없이도 언제 어디서든 종이와 펜만 있으면 토론을 통해서 난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토성의 위성에 무인탐사선을 착륙시켰다. 물리와 수학의 후예들은 여러 우주 관련 연구기관, 주요 기업 그리고 도전적이고 창의적인 스타트업에서 활동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우주 산업에 관한 관심이 다소 뒤늦게 시작됐고, STEM 분야의 공부는 날이 갈수록 입시를 위한 도구로만 여겨져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산부인과 교수는 “자궁은 다른 장기들보다도 체내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이 정말 중요한 기관”이라며 “아기가 성장하는 데 필요한 호르몬이나 대사 작용 등을 모두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본다”고 했습니다.그럼에도 인공 자궁 연구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9월 1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방부제, 헬륭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하는 파라벤 계열 원료랍니다. 한때 파라벤은 우리 몸에서 호르몬을 분비하는 신체 기관인 내분비계를 교란하는 화학물질로, 유방암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되었어요. 이에 화장품 회사들은 파라벤이 들어가지 않은 제품을 잇따라 출시하기도 했지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 ...
- 수학의 도시 프린스턴으로! 프린스턴대학교와 고등연구소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수학과는 전 세계 대학교 수학과 중 손꼽히며, 고등연구소는 당대 최고의 수학자가 속한 기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앞서 열거한 5명의 학자도 이곳의 수학과 소속이었지요. 고등연구소는 1966년까지 30년 넘게 수학과만 있었기 때문에 자연 현상을 수학으로 이해하는 물리학자도 수학과에 속했습니다 ...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진동인 소리가 전기 자극인 신경 신호로 바뀌는 과정이다. 인간이 소리를 느끼는 감각 기관은 귀다. 소리가 고막을 통해 달팽이관에 전달되면, 달팽이관의 청각 세포는 소리를 신경 신호로 만든다. 이렇게 전기 신호로 번역된 음악은 비로소 뇌에 입력돼 정보로 처리되기 시작한다. 대뇌 아래에 있는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