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곡
산골짜기
협곡
넓은 골짜기
골짜구니
분지
홈통
d라이브러리
"
골짜기
"(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것을 막는 불탄나무 편책공(編柵工)이 그 중 하나다. 통나무나 돌더미를 쌓아올려
골짜기
입구를 가로막는 구곡막이도 산사태를 막는데 쓰이는 구조물이다. 좁은 계곡 사이에 설치하는 링네트(ring net)는 산 아래로 떨어지는 돌과 나무를 막고 물만 통과시킨다. 충격을 잘 흡수하고 설치가 쉽다. 이 ... ...
코와
골짜기
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가스전이 전체적으로는 뒷방향으로 올라가는 구조였지만 운좋게도 바로 뒤에 큰
골짜기
가 패여 있었다. 이곳에 퇴적암(퇴적물)이 쌓였고 이 퇴적암이 자연스럽게 덮개암 구실을 한 것이다.김 과장은 “1990년대 들어 이런 지형에도 석유가 묻힐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이 일어났고 90년대 후반 시추를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숲과 계곡, 넓은 규모의 논과 밭에서 발생한다. 만약 이런 곳에서 발생한 찬공기가
골짜기
와 산, 언덕을 따라 도시를 향한다면 도시는 신선한 공기를 받아들여 쾌적한 환경을 갖게 된다.그러나 찬공기가 들어오도록 하는 것이 좋은 것만은 아니다. 만약 찬공기가 대기오염물질과 혼합돼 주거지역으로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화석이 발견되었으나 학계의 주목을 받은 것은 56년에 독일 뒤셀도르프 근처의 네안데르
골짜기
(네안데르탈)에서 발견된 두개골이었다 J 라마르크 학설의 발전과정에서 파생한 진화학설의 총칭 다윈의 진화학설이 제시된 후 부활된 라마르크설 중에서 획득형질(獲得形質)의 유전과 자연도태설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흘러들어가는 어귀에 퇴적물이 쌓여 삼각형 모양을 이룬 지형빙하의 침식으로 만들어진
골짜기
에 빙하가 사라진 뒤 바닷물이 들어와 생긴 좁고 긴 만 가로로 자른 면은 U자 모양을 이룬다하천이 산악지형에서 갑자기 완만한 평지로 흐를 때 산기슭에 자갈과 모래가 부채꼴로 퇴적해 생긴 ... ...
쌓인 눈 넉가래질하는 "은하"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1억년의 전쟁, 은하단 충돌아주 먼 옛날 그리스 북부 올림포스산에서부터 이집트
골짜기
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서 제우스가 이끄는 젊은 신들이 크로노스가 이끄는 거인 신들과 10년 동안 처절한 전쟁을 벌였다. 거대한 용은 거인 신들과 한편이 돼 이 전쟁에 참여했다.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렀을 때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의해
골짜기
가 깎이는 경우를 말한다 개석의 정도(개석도)는
골짜기
의 분포밀도,
골짜기
의 깊이 너비 길이 등을 적당한 방법으로 수량화하는 것에 따라 표시된다 이것은 그 침식작용이 이루어진 시대의 신구(新舊)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핵을 다른 세포질로 바꿔치는 일 다른 종 사이의 ... ...
식물은 빌딩 숲에서 더 잘 자란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Populus deltoides)를 뉴욕 최고 중심가 4곳과 뉴욕에서 1백여km 떨어진 롱아일랜드와 허드슨의
골짜기
2곳에서 같은 조건에서 3년 간 키웠다. 그 결과 도심의 나무는 사람 키를 넘어선 반면, 시골의 나무는 사람의 허리까지만 컸다. 연구팀은 이 원인이 도심과 시골의 오존량 차이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
3 배출된 이산화탄소 격리수용 시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표면 밑의 물에 해당된다. 이런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해저
골짜기
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천연가스 뽑는데도 유리해또하나의 가능한 방법은 깊은 바다의 밑바닥에 존재하는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층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것이다. 천연가스 하이드레이트층은 ... ...
식물종 분화시키는 만리장성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격리된 곳으로 높이 6m, 폭 6m의 장벽에 의해 양쪽으로 나뉘어져 있다. 나머지 한곳은 좁은
골짜기
로 이곳에 서식하는 식물을 실험의 비교군으로 이용했다. 구 박사는 이들 서식지에서 채취한 6종의 식물 DNA조각 4백16개를 분석해, 이들이 서식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조사했다.연구결과, 장벽에 의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