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탐지
발견
통찰
발각
탄로
안식
적발
d라이브러리
"
간파
"(으)로 총 104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눈동자 뿐이라는 사실을
간파
한 NASA의 기술진들이 개발한 것은 눈으로 움직이는 스위치였다. 우주비행사들은 목숨을 건지기 위해 지금도 안구를 움직여 스위치를 작동하는 훈련을 받고 있다.레이저빔 기술도 신기하기는 마찬가지다. ... ...
PartⅡ. 가상 인간 실현하는 테크닉3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특정한 부위의 근육이나 관절의 손상으로 생긴 걸음걸이의 유형과 원인을
간파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자전거 디자이너들은 새로운 디자인을 위해 시제품을 만드는 시간과 수고를 줄여 자전거의 성능과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또 다이빙 코치들은 특정 선수의 데이터를 입력한 다이빙 ... ...
무엇이 IQ를 높이나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뿐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 그런데 종형곡선을 검토하던 울릭 네이서가 그 중요성을
간파
한 것이다.뉴질랜드 오타고 대학의 정치학자 제임스 플린이 "매년 미국인의 지능지수가 0.3점 가량 높아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은 1984년의 일이다. 그는 미국의 군(軍)지원자들에게 실시하는 IQ검사 ... ...
4. 생명 현상의 통일장 이론 세포 자동자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탄소와 산소로 구성된 물렁물렁한 생명체와 논리적으로는 아무런 차이가 없음을 일찍이
간파
했다.물론 노이만의 자기증식 이론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이론 체계는 앨런 튜링(Alan Turing)에 의해서 제기된 것이다. 튜링은 '튜링기계'라는 가상적인 연산기계를 제안했다. 지금까지 알려진 최신의 ... ...
미시세계의 생명력 마이크로코스모스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하우스’를 읽어 본 독자라면 ‘마이크로코스모스’가 이 책의 ‘자연’편임을
간파
할 것이다. 만약 자신의 주변에는 징그러운 곤충들과 박테리아들이 보이지 않는다고 안심하고 있는 친구가 있다면 반드시 권해야 할 도서다.이렇듯 현미경으로 들여다본 미시세계는 종종 우리가 평소에 간과했던 ... ...
첨단화된 북한 감시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네 번씩 통과하면서 체르노빌 발전소 기술진들의 다급한 무선교신을 탐지해 비상사태를
간파
했던 것이다. KH-11은 3백21-4백81km 상공에서 사고현장의 사진을 찍어 워싱턴의 국립사진판독센터로 보냈고, 컴퓨터로 처리된 사진은 주변 냉각수, 저수지는 물론 발전소 구내의 도로까지 선명히 보여줬던 ... ...
4. 천문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천문학의 새 지평 열다 1895년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이후 그 잠재력을 가장 빨리
간파
하고 수용한쪽이 의사들이라면, 뒤늦게나마 그 혜택을 마음껏 누리고 있는 쪽은 천문학자들이다.X선의 물리적 특성이 밝혀진 이후 통신을 하는 사람들 쪽에서 문제 제기가 있었다. "전파는 외부로 발산되지 않고 ... ...
3 현대우주론의 아킬레스건, 우주상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생겼다.우주상수를 다시 도입하는 문제는 더 큰 문제를 잉태한다. 아인슈타인 자신도
간파
했듯 우주상수 문제는 비단 우주론뿐만 아니라 현대 물리학의 도처에서 나오는 아주 여러 물리분야가 복합된 문제이다. 아주 간단히 말해 우리가 아는 한, 이 값은 0이거나 0에 가깝다. 입자물리학적 실험이나 ... ...
1 제품고르기 전 반드시 A/S·매뉴얼 확인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일반 사용자들의 엄정한 테스트를 받는다. 사용자들이 불편해 하는 점을 재빨리
간파
하고 개발과정에서 그것들을 고친다. 이런 마인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좋은 소프트웨어가 나오는 것이다.윈도우 95만 하더라도 그렇다. 비록 그 제품의 출하시기 약속을 몇번씩이나 어기는 괘씸함을 보이긴 ... ...
1등사수의 지름길, 포물선 운동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감각으로 잘 이해되지 않는다. 그러나 포물선 운동의 원리를 알게 되면 그 실체를
간파
할 수 있다. 물체를 옆으로 던짐과 동시에 다른 물체를 자유낙하시킬 때 어느 물체가 먼저 땅에 떨어질 것인가? 옆으로 던진 물체는 옆으로 가려고 바쁘기 때문에, 아래로만 떨어지는 물체보다 느리게 떨어질 것 ... ...
이전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