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으)로 총 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앞뒤로 왔다 갔다~! 고백카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11
- 자동차, 고백카의 비밀은 바로 탄성력이라는 사실! 이제 알았어요~.자, 그럼 제가 고백카로 박사님이 사는 16차원까지 모셔다 드릴게요. 왔다 갔다 왕복운동을 16000번 하면 빙글빙글 돌면서 차원 이동을 하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럼 출발~!으악~! 섭섭박사 살려~!참여독자 : 황무권(서울 행현초 2 ...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과학동아 l201211
- 이번에 28번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그 비결이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하니 젊은 코빌카 박사가 응급실에서 겪은 일이 다시 한번 떠오른다. 급박하고 바쁜 와중에 가졌던 작은 호기심이 집요한 연구로 이어졌고, 결국은 노벨상까지 이어졌다. 지금 당신의 ‘응급실’은 어디일까.▼관련기사를 ...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10
- 미래에는 레이저 공격이 빈번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대비가 돼 있어야 한다. 카쿠 교수는 ‘포토크로마틱스’ 기술을 레이저 공격을 막기 위한 해법으로 내놓았다. 포토크로마틱스란, 투명하던 안경이 자외선을 흡수하면 검은색 선글라스로 변하는 기술이다. 앞으로 나노기술이 더 발달하면 ... ...
- Part I. 불안이 몰고 온 현대의 비극, 스트레스과학동아 l201210
- 혈압이 오르고 다리 근육에 혈액과 함께 에너지가 공급된다. 얼룩말의 몸은 순간 스포츠카처럼 뒤바뀐다.이 역할을 하는 호르몬을 ‘스트레스 호르몬’이라 부른다. 스트레스 호르몬은 동물의 생존확률을 높이는 중요한 물질이다(위험 앞에서 도망가는 행동 외에, 공격적인 행동을 할 때 나오기도 ... ...
-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과학동아 l201209
- 신입생들은 싱가포르 독립기념일 행사 준비로 바빴다. 재활용 쓰레기를 활용해 퍼레이드카를 만들고 있었다. 전자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 신영준 씨는 “술을 마시는 대신 이런 활동을 통해 서로 단합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전세계 곳곳에 거미줄 네트워크 싱가포르는 역사적으로 영국 등 ... ...
- PART 2. 교통사고·도난사고 모두 막는다과학동아 l201209
- 바뀌고 있다. 당신이 꿈꾸는 첫 차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다양한 첨단 스마트카 중에서 골라보자.◀ QR코드를 통해 한 교수가 개발한 무인주행장치로 운행하는 운전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최고의 자동차, 마음을 흔들다PART 1. 우리 시대 최고의 자동차PART 2. ...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과학동아 l201208
- 설계된 무장비행체다. ‘더 배트’, 날 수 있을까공개된 예고편 중 텀블러(배트 카)를 닮은 검은색 비행체가 고담시 하늘을 나는 장면이 있다. 이 비행체의 정체가 바로 ‘더 배트’. 더 배트에는 기관총은 물론 로켓런처가 장착돼 강력한 화력을 자랑한다. 영화 ‘다크나이트 라이즈’에서 ... ...
- 딱스어린이과학동아 l201206
- 탄성력을 계산해 봐. 그럼 내가 달리는 속도와 멈추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지. Go-Back 카를 다 만들었다면, 누구 차가 더 빨리 달리는지 경주를 해 볼까? 에헴, 난 앞의 두 친구보다 조금 더 어려울걸? 속력, 원심력, 중력까지 계산해야 멋진 롤러코스터를 완성할 수 있거든. 다들 놀이공원에서 한 번씩 ...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과학동아 l201206
- intermediate-mass black hole)’로 불리고 있다.한편 지난 2007년 영국 사우샘프턴대 토머스 매카론 박사팀은 지구에서 5000만 광년 떨어진 거대 타원은하 NGC 4472에 있는 구상성단의 중심에 질량이 태양보다 적어도 400배는 무거운 중간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관측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구상성단은 ...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과학동아 l201206
- 그런데 이 내용이 밝혀진 것은 의외로 꽤 최근의 일이다. 1944년 독일 뮌헨대의 동물학자 카를 폰 프리슈가 처음 밝혀서 1973년 노벨상을 받았다.이후 몇 년 뒤, 프리슈의 제자인 마르틴 린다우어는 벌집을 관찰하다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춤을 추긴 하는데 평소처럼 벌집이 아니라 다른 벌의 등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