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단"(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05
- 합성효모를 이용해 아르테미시닌을 상용화한 제약회사다. 이들은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에서 6400만 달러(약 726억 원)를 지원받아 2014년부터 반합성 아르테미시닌(SSA)을 제작했다.이들의 목표는 개똥쑥에서만 추출할 수 있어 비싼 아르테미시닌의 단가를 낮춰 말라리아 치료제를 1달러 미만으로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05
- 전반의 연구정보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포스텍(포항공대) 소속 기관이다. 1995년 한국과학재단이 과학의 12개 분야에서 연구정보센터를 선정해 지원했는데, 이 중 하나로 뽑혀 그해 10월 설립됐다(초대 센터장 남홍길 당시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센터명과 같은 ‘브릭’이라는 이름으로 1996년 5월 ... ...
- Part 2 무관심이 만든 자녀 학대. 어떻게 끊어낼 것인가과학동아 l201605
- 말 한 마디도 아이에겐 학대가 될 수 있다. 인식의 변화가 중요하다”_ 하지혜 푸르메재단 넥슨어린이재활병원 박사일반적으로 부모들이 학대라고 생각하지 않는 학대도 많다. 예를 들어 ‘싹수가 노랗다’, ‘네까짓 게 뭔데’, ‘이것밖에 못해?’ 등과 같이 험한 욕설이 포함돼 있거나 아이를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05
- 유명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도 포함돼 있다. 연구자들은 코코의 이름을 딴 ‘코코 재단’을 세우고 야생 고릴라 보호를 위해 힘쓰고 있다. 코코 역시 자신이 가진 놀라운 재능을 이용해 이 일을 돕고 있다.타잔과 그의 침팬지가 나누는 우정처럼침팬지와 고릴라의 언어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04
- 쇼크가 강타했습니다.”3월 1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집무실에서 만난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하루 전에 막 끝난 알파고와 이세돌의 ‘세기의 대국’에 크게 고무된 듯 했다. “패러다임의 전환도 일어날 겁니다. 문화 충격, 교육의 변화, 산업계의 변신 등 흩어져 있던 이야기들이 한 ...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4
- 티토는 앞으로 더 많은 사람이 우주여행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화성 인스퍼레이션 재단’을 만들었어요. 그리고 2018년 1월에 첫 민간 화성왕복선을 발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답니다.우주여행 티켓이 3억 원?2005년 영국의 우주여행기업인 ‘버진 갤럭틱’은 우주여행 티켓을 판매해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04
- 모았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전 임원이었던 찰스 시모니의 ‘찰스 앤 리사 시모니 재단’에서 2000만 달러, 빌 게이츠가 1000만 달러를 기부했다. 이 돈은 망원경을 이용하고 유지, 보수하는 데도 활용할 계획이다.Q. 망원경 프로젝트에 구글이 참여하는 점이 놀랍다.구글은 프로젝트 초창기부터 기관 ... ...
- 붉은 원숭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03
- 손오공도 몰랐던 원숭이 이야기원숭이는 영장류에 속하는 동물로, 전세계에 약 430종이 살고 있어. 다른 동물에 비해 생김새가 인간과 가까워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로 알려져 있지. 그런데 사람과 전혀 닮지 않은 원숭이도 많다지 뭐야? 그렇다면 어떻게 수많은 포유류 중에서 원숭이를 구별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03
- 마음먹고, 메릴랜드대로 돌아와 중력파 검출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은 웨버는 1661Hz(헤르츠)에서 변형률이 10-16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공명 막대형 검출기 ‘웨버 바’를 만들고 중력파 관측에 들어갔다. 첫 실험에서 중력파 의심신호 10개를 ... ...
- [Knowledge] 우리도 부모가 되고 싶다과학동아 l201603
- 1월 한국공공정자은행연구원(아래 정자은행 연구원)이 부산시로부터 재단법인으로 설립을 허가받았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유일하게 국립, 공공 또는 상업 등의 어떠한 정자은행 체계도 없었다. 이에 박남철 부산대병원 비뇨기과 교수와 서주태 단국대 의대 비뇨기과 교수는 지난해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