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첨예
d라이브러리
"
예리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선시대 서민이 원기둥을 쓰지 못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01
상징성을 갖는다. 자연에는 직각이 존재하지 않으며 정확히 측량해 만들어낸 사각의
예리
한 모서리는 인간적 예지를 돋보이게 하는 장치다.자연과 이성이라는 두가지 대립축으로 성장해온 원형과 사각형이 과연 미래에는 어떻게 될까. 주변의 사물들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그곳에 사용된 ... ...
현생 포유류의 새로운 원시조상 발굴
과학동아
l
200107
지금까지 알려진 현생 포유류의 원시조상은 중생대 쥐라기시대인 1억9천5백만년 전에 나타난 원시포유류로 알려졌다. 그러나 최근 사이언 ... 교수는“이같은 변화는 쥐라기시대에 야행성 포유류가 살아남기 위한 필수적 기능인
예리
한 청각으로 진화하기 위한 결정적 단계였다”고 말한다 ... ...
누구나 주인인 또다른 정보의 바다 넌 인터넷 하니? 난 위키한다!
과학동아
l
200107
놓은 새 페이지들을 둘러보며 여기 저기 코멘트도 해주고 은근슬쩍 ‘더 정확하고
예리
하며 명쾌한 말’로 고쳐놓고 사라지기도 한다. 이름하여 노자적(老子的)인 위키 관리자가 된 것이다. 그것도 자발적으로. 이렇게 K씨는 본인도 모르는 사이 댄스 황태자가 되어가고 있었다.귀중한 지식 공유하는 ... ...
④ 테라급나노소자 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104
아저씨의 모습이 금새 떠올랐다. 하지만 사업단 이야기를 꺼내는 그의 눈빛과 말투엔
예리
함이 서려있었다.나노 아니면 길이 없다나노 분야가 지금처럼 주목받게 된 것은 그다지 길지 않다. 특히 1992년 삼성종합기술원 신소재연구실에서 일을 하던 시절, 나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나노 연구를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09
겉보기크기가 거울보다 약 1.5배 정도 돼서야 두개가 서로 비슷하다고 느낄 수 있었다.
예리
한 관찰능력을 가진 사람이라면 천체투영관에서 본 북두칠성이 실제 밤하늘에서 본 북두칠성보다 훨씬 작아보인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이 모두가 거리착시 때문이다.멀리 있다고 생각해 커보인다금년 초 ... ...
타임머신(The Time Machine)
과학동아
l
200007
이루어졌다. 웰스는 그러한 사회의 미래상이 어떤 불길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지
예리
한 통찰력으로 꿰뚫어 본 것이다. 어쩌면 그 자신이 중하층 집안 출신이었기에 더 날카롭게 전망한 것인지도 모른다.오늘날 타임머신은 시간여행을 다룬 SF물의 효시격이 돼 숱한 후배작가들에게 영감을 ... ...
아마존 정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7
그것이다. 피라니아는 원주민의 말로 ‘이빨이 있는 물고기’란 뜻인데 실제로 삼각형의
예리
한 이빨이 있다. 열대성 담수어인 피라니아의 몸길이는 약 30cm. 육식성으로 성질이 사납다. 하천을 건너는 소나 양 등을 습격하고 무리를 지어 공격해서 뼈와 가죽만 남기고 살은 모두 먹어 치우는 것으로 ... ...
동물의 아비사랑
과학동아
l
200005
키위’ 소리를 내니 여기에서 이름이 붙여졌다.방어 무기는 발가락 끝에 생긴 커다랗고
예리
한 발톱이 전부다. 이곳에 육식하는 동물이 없었기에 망정이지 만일 있었으면 키위는 벌써 씨가 말랐을 뻔했다.몸 길이 50cm에 지나지 않는 이 작은 새는 한 배에서 2개의 알을 낳는다. 그런데 놀랍게도 알의 ... ...
허준은 스승의 시신을 해부했을까?
과학동아
l
200004
치료 지침서)이라는 책을 펴냈는데, 여기에는 놀랄만한 외과수술적 방법이 담겨있다.
예리
한 수술 도구를 써서 종기를 째고 여러가지 약을 써서 뿌리를 제거하는 각종 방법이 그것이다. 지금의 눈으로 보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것이었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유래가 없는 ... ...
뉴로맨서(Newromancer)
과학동아
l
200003
과언이 아니다. 한마디로 이 작품은 컴퓨터 정보사회가 낳을 새로운 사회상과 감수성을
예리
하게 전망했던 것이다. 단순한 전망이 아니라 일종의 창조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8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 숱하게 쏟아져 나오고 있는 온갖 SF소설이며 영화, 또 관련 문화들은 어떤 의미에선 모두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