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개발"(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SNS 악성 루머, 딱 걸렸어!과학동아 l201402
-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서 떠도는 이야기들은 빠르게 다수에게 퍼지지만 내용의 진실성이나 ‘루머’ 여부를 밝히기란 쉽지 않다.국내 연구진이 SNS 루머 판별 기술을 개발해 소모적인 논란을 피할 수 있는 실마리를 만들었다. 차미영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팀은 서울대, ... ...
- 말 타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402
- 말은 예부터 우리 조상 곁을 지켜온 동물이다. 신라를 세운 박혁거세의 알을 지킨 것도 말이었고, 고구려를 세운 주몽이 승천할 때 탄 동물도 말이었다. 이처럼 명색이 기마민족의 후예인데, 주변을 둘러보면 말 타는 사람이 거의 없다. 독일에서는 여성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가 승마라는데….말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01
- 12월 15일 일요일 새벽(중국 시간) 달 표면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3호’가 이동로봇 ‘옥토끼’ 위투호를 조심스럽게 내보냈다. 부드럽게 굴러간 위투호는 달 지면에 선명한 바퀴자국을 찍으며 나갔다. 아시아에서는 처음, 세계에서는 구 소련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인류의 손길 ...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12
- 지난 여름 전력이 부족해지면서 에어컨을 껐던 기억이 생생하다. 하지만 대규모 정전, 즉 블랙아웃은 사실 여름보다 겨울에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한다. 이제 겨울철 난방 대부분을 전기로 감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에어컨이야 알아서 덜 쓴다고 하지만, 겨울철 난방이야 어디 전기 쓴다는 생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11
- 한때 가장 있기있는 미드가 ‘CSI’였다. 과학수사대를 뜻하는 말이다. 국내에서도 박신양과 김아중이라는 배우가 나온 ‘사인’이라는 드라마가 20%를 넘는 시청율로 인기를 끌었다. 이런 과학수사 드라마가 TV에서 인기를 끌 때 가장 흐뭇해하는 사람이 바로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 ...
- 5년을 몰입하면 인생이 재밌어진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연구원 태평양해양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1311
- 오색 산호가 숲을 이루고 ‘니모’를 닮은 열대어들이 화려한 춤을 추는 곳. 무서운 상어가 친근하게 다가오고, 돌고래가 점프하며 인사하는 곳.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태평양해양연구센터가 있는 ‘지구의 배꼽’, 남태평양 축의 산호바다다. 그곳에서는 몸도 마음도 뜨거운 멋진 남자들이 묵묵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11
- 올해 노벨 화학상은 복잡하고 큰 분자의 화학반응을 컴퓨터에서 계산하고 연구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한 과학자들에게 돌아갔다. 미국 하버드대 화학과의 마틴 카플러스 교수, 스탠퍼드대 구조생물학과의 마이클 레비트 교수, 서던캘리포니아대(USC) 화학과의 아리에 와르셸 교수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10
- 뜨거워 손가락 델라, 조심스레 검게 그을린 껍질을 벗긴다. 노란 속살이 드러나자 호호 불며 입에 넣는다. 달콤한 것이 입에서 살살 녹아내리며 목을 넘어가고, 또다시 한 입을 베어 문다. 엄동설한 먹는 군고구마처럼 맛난 게 어디 있을까. 맛도 맛이지만 영양가가 높아, 고구마는 우리 민족에게는 ... ...
- [수학뉴스] 수학 덕분에 더 안전해진 항공기수학동아 l201310
- 지난 7월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항공기 착륙 사고에서 보듯, 항공기는 이착륙할 때 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다. 특히 이착륙하다가 착륙장치가 불시에 진동하는 현상은 오랫동안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최근 영국 브리스톨대 공학수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09
- 1000억은 큰 수다. 우리은하 안에 있는 별의 숫자가 대략 그 정도다. 그런데 인간은 모두 머릿속에 이 큰 수를 품고 있다. 바로 뇌 안에 들어 있는 신경세포의 수다.하지만 뇌에서 더 중요한 것은 신경세포가 아니다. 이들 사이의 연결(시냅스)이다. 대뇌의 가장 바깥 조직인 신피질에 있는 200억 개의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