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d라이브러리
"
쌍
"(으)로 총 98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11
몸무게, 허리둘레, 크는 속도 등이며 여러 염색체
쌍
에 위치한 수백~수천 개 유전자
쌍
의 지배를 받는다. 환경조건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혈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부모 혈통이 좋은 수송아지 800마리를 뽑는다. 충남 서산의 한우개량사업소에 입소시켜 같은 환경 조건에서 ... ...
코끼리는 어떻게 암을 피해갈까
과학동아
l
201511
단백질 ‘TP53’을 만드는 유전자가 20
쌍
이나 존재했다. 인간에게는 이 유전자가 한
쌍
밖에 없다. 연구팀은 세포 내 DNA가 손상됐을 때 체내 면역 반응도 함께 조사했다. 그 결과 코끼리의 면역세포는 인간의 면역세포에 비해 손상된 세포에 ‘세포자살(apoptosis)’을 더 많이 유도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 ...
[파충류의 속사정 7] 가을은 독사의 계절?
과학동아
l
201511
띠는 뱀이다. 이들은 머리 안에 위치한 독 분비선 이외에도 목 부위에 독 분비선이 한
쌍
더 있다. 이 분비선에서 나오는 독소는 먹이를 사냥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라 유혈목이의 방어수단이다. 천적에 의해 목 부위를 공격받았을 때 찢어진 피부를 통해 밖으로 분비된다.미국 올드도미니언대의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09
모형을 만들었다.네발동물은 좌우 네 개 씩, 총 여덟 개의 회로가 있다. 다리 하나마다 한
쌍
의 회로가 붙어 있는데, 각각 근육을 수축하거나 확장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회로끼리는 서로 연결돼 있어, 네 다리가 서로 꼬이거나 헛딛지 않고 일정한 박자에 맞춰 걷도록 명령을 내린다. 어떤 순서로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509
태양과 2개의 밝은 별만 보이지만, 충분히 구경이 큰 망원경으로 보면 밝은 별 중 하나가
쌍
성으로 차츰 변해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이번 연구를 주도한 JPL의 르위스 로버츠 연구원도 설명 자료에 “이런 다양한 외계행성 시스템이 서로 엮여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게 행성과학의 묘미”라고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08
이들에게 야콥슨 기관이 있었음을 알아냈다. 야콥슨 기관은 파충류의 입천장에 있는 한
쌍
의 페로몬 수용기관이다. 뱀을 포함한 일부 도마뱀은 끝이 갈라진 혀를 이용해 공기 중의 화학 물질을 묻혀 야콥슨 기관으로 전달한다. 뼈 화석을 통해 스컬럽 박사가 복원한 모사사우루스의 야콥슨 기관은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08
스윙바이처럼 행성을 스쳐 지나가면서 가속도를 얻고자 할 때는 에너지가 가장 높은
쌍
곡선 궤도를 사용한다. 태양계를 넘어 외계로뉴호라이즌스 호는 얼음 조각과 소행성들이 모여 있는 ‘카이퍼 벨트’와 태양계 밖을 향해 계속 나아가고 있다. 탐사기술이 더 발달하면 외계행성으로 떠날 날이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08
당신도 이제 후성유전 언어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
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08
후성유전학의 발전을 다음 파트에서 직접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
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08
매미는 커다랗고 두꺼운 앞날개와 그 아래 뒷날개가 서로 연결돼 있어서 마치 날개 한
쌍
으로 나는 것처럼 보인다. 연구팀은 영상을 천천히 재생하며 매미의 몸이 세 축에 대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세심하게 관찰했다. 또 나비에-스톡스 방정식★을 적용해 매미가 날갯짓할 때 주변 공기 흐름이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