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악
위조
곡해
modulation
d라이브러리
"
변조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10
다중도가 큰 경우에는 군
변조
(群變調)가 사용되고 다시 몇 개의 군(群)으로 나누어 군
변조
를 반복한다 한 전선으로 두 개 이상의 통신을 동시에 양쪽에서 행할 수 있는 전신기 직류전신에서는 반송전신에 활용된다 이 통신법은 주로 차동식(差動式) · 브리지식(海底式) 2중회선이 사용되나 ... ...
고소득 국가 소비량 적정 수준보다 높아
과학동아
l
200210
음성이 잘 전송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각종
변조
방식이 있다 데이터처리 목적에 적합하도록 필요한 데이터를 조직적으로 정리한 데이터의 목록 데이터파일은 크게 변동하지 않는 기본이 되는 데이터를 모은 마스터파일과 시종 변동하는 데이터를 모은 ... ...
신용카드 대체할 휴대폰 결제시대
과학동아
l
200208
보안성과 방대한 양의 기억용량을 자랑한다. 때문에 스마트카드는 그 자체로 복제나 위·
변조
가 힘들뿐더러 단말기에 삽입되면 스스로 단말기와 ‘대화’를 나눈다. 대화의 과정에서도 암호문을 쓴다. ‘주인의 신상·금융정보가 이러저러하니 맞는지 확인해달라’고 전하면 단말기가 진위여부를 ... ...
암호학 카드하나로 통하는 디지털 보안첨병
과학동아
l
200201
짧은 일정한 길이의 데이터로 변환해 RSA 알고리듬 계산을 효과적이게 만들며, 데이터의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인터넷 인증과정에서 꼭 필요한 기술이다.또 인증서의 공개키 필드를 보면 공개키에 1천24비트나 되는 수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있다. 당연히 인증서에는 비공개키가 ... ...
최고의 정보고속도로 펼치는 통신망 구현
과학동아
l
200111
전송한 바 있다. 파장분할다중방식은 파장이 서로 다른 여러 광원을 전송 데이터에 따라
변조
시킨 뒤 이 빛을 서로 합쳐 한가닥의 광섬유를 통해 전달하는 방법으로, 광섬유당 전송용량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첨단기술이다. 이 기술이 구현된 시스템을 사용하면 약 1천5백만명이 동시에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10
: 아날로그서비스기간 : 1984년 4월-1999년 12월사용주파수 : 8백MHz 대특징 : 디지털
변조
없음내용 : 카폰, 음성위주 통화전송속도 : 데이터 통신 불가2세대셀룰러방식 : 디지털 (CDMA)서비스기간 : 1996년 1월-사용주파수 : 8백MHz 대특징 : 통화품질 우수, 가입자용량 2~4배 증가, 무선 인터넷내용 : 음성 데이터 ...
전자 및 광학재료실험실 포스트 D램 반도체 시대 연다
과학동아
l
200107
만들어진 광정보는 빛의 속도로 전달될 수 있다. 연구실에선 음향-광학 원리를 이용해 광
변조
기를 제작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음향-광학 원리는 노을이 지는 강가를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된다. 강의 표면에 생긴 잔잔한 물결은 태양광을 변환시켜 다양한 색깔로 강물표면을 물들인다. ... ...
디지털 저작권 지키는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106
잘라내려고 시도하면 파일이 전혀 알아볼 수 없게 깨지도록 설계된다. 즉 원본의 위조나
변조
를 막기 위해 숨겨진 기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원리 때문에 계약서나 각종 예약 티켓을 인터넷으로 신청할 경우 발급 받는 것만으로 ‘원본’임이 증명된다.이밖에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과 ... ...
꿈의 이동통신시대 준비하는 이론공학자 송익호
과학동아
l
200105
모아지고 있다.CDMA 방식의 휴대폰을 사용한다고 하자. 이 시스템에서는 보통 하는 말을
변조
한 다음 폭이 짧은 수열을 곱해서 보낸다. 그리고 이 정보를 수백 kHz 또는 몇만 Hz 대역으로 퍼뜨린다. 다른 사람이 알아듣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이 정보를 받을 때는 이전에 곱해준 수열을 다시 ... ...
근육 움직임 모사해 나노구동에 도전
과학동아
l
200104
분석∙규명해 관련 과학적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나아가 생체의 나노구동과 구동
변조
에 대한 원리를 공학적으로 변형시켜 모사해야 한다. 그러면 μm 크기의 부품을 이용해 nm급의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새로운 나노구동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또한 현재 과학과 공학 사이의 미개척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