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나무"(으)로 총 1,0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08
- 내 이름은 니콜라 테슬라, 지금 자네들이 쓰는 ‘교류 발전기’를 발명해 ‘전기의 아버지’로 불리는 사람일세. 내 입으로 자랑을 하려니 좀 쑥쓰럽군, 허허~. 내가 살던 19세기 말에는 전기 그 자체가 신기한 존재였다네. 그런데 21세기에는 더 신기하고 재미있는 ‘발전’, 즉 전기를 만드는 방법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08
- 9년 전 지구를 떠난 미국의 뉴호라이즌스 호가 한국 시각 7월 14일 오후 8시 49분 57초에 태양계 외곽에 있는 명왕성에 약 1만 2550km 거리까지 접근했다. 처음 보는 명왕성의 상세한 모습이 눈앞에 드러나는 순간이었다. 인간의 우주 탐사가 점점 더 먼 곳까지 미치고 있다. 이제는 수많은 외계행성이 발 ...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과학동아 l201508
- 짠 음식은 요즘 동네북이다. 고혈압에 심혈관 질환까지 마치 ‘만병의 근원’인 듯 하다. 아예 짠 음식을 먹지 않고 살 수는 없을까. 우리의 혀는 달달한 설탕에도 끌리지만 짭짤한 감자칩의 유혹에도 쉽게 무너진다. 도대체 우리는 왜 짠맛에 빠지는 걸까.코끼리와 나비도 미치게 하는 나트륨의 맛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08
- 칠레 파라날 천문대에서 촬영한 은하수와 황도광. 사진의 오른쪽에 솟아오른 것이 황도광이다.서호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형태의 황도광을 볼 수 있다. 세상에서 가장 어두운 밤하늘을 만날 수 있는 곳, 문명의 불빛이 전혀 비치지 않는 곳, 오직 별빛만 바라 볼 수 있는 곳. 만약 그런 곳에 홀로 서 ...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수학동아 l201508
- 해가 기울고 어둑어둑해진 산길. 덥고 습한 날씨 탓인지 숨이 턱턱 막히고 이마에 땀이 송골송골 맺힌다. 서늘해 보이는 나무 그늘로 들어오니 맴맴~ 우렁찬 합창 소리가 들린다. 그리고 옆에 서 있는 나무기둥에는 매미 약충★ 한 마리가 숨을 돌리고 있다. 땅속에서 기나긴 어둠을 이기고 밖으로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07
- 30억 년 전, 지구가 아주 어렸을 때 이 땅의 모습은 어땠을까.과거의 지구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육지는 훨씬 적었고 대부분은 바다로 덮여 있었다. 눈에 보일 만한 생명체는 전혀 없었고, 약간의 미생물만이 물속에 존재했을 뿐이다. 그 중에서도 지금과 가장 다른 점은 대기에 산소가 없었다는 점 ... ...
- 놀이하는 동물, ‘꽃보다 악어’과학동아 l201507
- 노는 악어나 이구아나의 모습을 떠올리기란 쉽지 않다. 동물원에서 만날 수 있는 파충류가 대부분 우두커니 멍 때리고만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건 다 파충류에게 놀 거리를 주지 않아서다. 사람들이 축구공이나 오락기를 가지고 노는 것처럼, 파충류 또한 놀 거리가 있으면 정신 못 차리고 논다.1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6
- 가는 비가 흩뿌리던 4월 29일 오후 7시. 이따금 갈매기 울음 소리만 들려오던 충남 태안 신진항의 한 횟집이 갑자기 시끌벅적댔다. "가까이 가보니 대접이 엎어져 있더라고요. 팔을 살짝 넣어서 그릇을 뒤집은 다음에 집었어요." "와~, 실력이 나날이 느네요!" 무용담을 쏟아낸 열댓 명의 남자들은 선박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06
- ‘쾅’ 굉음과 함께 모든 것이 흔들렸다. 첫 지진은 4월 25일 오전 11시 56분, 수도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81km 떨어진 람중 지역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가 11km에 불과한 규모 7.8의 강진이었다. 도시 대부분의 건물들이 힘없이 무너져 내렸고 도로가 끊겼다. 천년 문화유적을 간직한 사원들과 왕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05
- ‘피이~’ 높고 날카로운 소리가 해변을 울렸다. 소리가 나는 쪽으로 급히 망원경을 돌렸다. 맨눈으로 잘 보이진 않지만 화면 속에 검은 얼룩과 이상하리만치 길고 붉은 부리가 보인다. 검은 머리와 흰 배가 마치 턱시도를 입은 듯 하다해서 ‘갯벌 위의 신사’라는 별칭을 가진 검은머리물떼새다.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