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헤어핀
핀
머리삔
삔
못
장식핀
축
d라이브러리
"
머리핀
"(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1. 0.001초 차이 가려내는 컴퓨터 판정의 순간들
과학동아
l
199206
육상 수영 사이클 등 기록종목에서 컴퓨터심판은 종횡무진 활약한다. 판정시비를 없애고 관전의 재미를 더해주는 전자장치들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바르셀로나 올림픽 육상 1백m 결승. 예선과 준결승을 통과한 8명의 선수들이 출발점에 섰다. 스탠드에 운집한 수만명 관중 뿐 아니라 텔레비전 위 ... ...
바늘구멍 하나가 세계를 바꾼다
과학동아
l
199205
발명을 해 '한국의 에디슨'으로 불리우는 신석균씨의 발명품중에도 '
머리핀
+라디오=
머리핀
라디오'라는 것이 있다. 신씨는 이 발명품으로 뉴욕국제발명전에서 준대상을 수상했다. 편지봉투 시장 석권한 투명 셀로판 봉투 더하기만 발명이 아니다. 놀랍게도 빼기도 발명이다.어울리지 않는 ... ...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의사 윤한석
과학동아
l
199204
"남은 시간은 제 발명품이 상품화 되는 데 비칠 겁니다. 더디 가도 가긴 꼭 갑니다."종로 2가와 3가가 만나는 인사동 입구에서 조그만 치과를 경영하고 있는 윤한석(尹漢晳·55세)씨는 올해로 개업의 생활 25년을 맞는다. 전쟁직후 사람도 물자도 귀하던 시절, 역시 치과의사였던 선친(윤수현씨·작고)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04
무게 30t, 사용된 진공관 1만7천개, 직선의 길이 1백30㎞였던 매머드 기계 '에니악'은 당시로서는 놀랄만한 계산속도를 자랑했다.'U보트를 격침시켜라'라는 전문이 급하게 영국해군본부 암호해독실에 전달되었다.2차대전이 막바지에 이른 1943년, 영국의 보급선은 나치독일이 자랑하는 U보트의 공격에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03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두뇌에 손상을 입은 한 여자는 더이상 물체를 인식할 수 없게 됐다. 그러나 그 여자는 아직도 물건들을 집고 사용한다. 어떻게 그럴 수 있는지 자신도 모르면서.뇌일혈로 장님이 된 어떤 남자는 실험을 해 본 결과 눈앞에 지나기는 빛을 인식할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한편 ... ...
생명체의 분류
과학동아
l
199012
분자들의 사슬식연결로 만들어진다. 리보솜내의 각 RNA분자들은 어느 특정부분에서는
머리핀
같은 곡선을 이룬다. 바로 이 곡선부분에 여섯 혹은 일곱개의 뉴클레오티드가 있다. 여섯개의 뉴클레오티드를 가진 세포들은 생명체의 한 그룹에 속한다. 또한 일곱개의 뉴클레오티드를 가진 세포들은 ... ...
한글 문서의 출력방법
과학동아
l
199011
마음에 꼭 드는 출력을 얻기까지는 꽤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몇 번 실습을 통해 익히면 그 다음부터는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다.워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워드프로세서란 것이 무엇인지 혹은 그 사용법이 어떤 것인지 배우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하는 인쇄물을 얻는 것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05
'
머리핀
+라디오=
머리핀
라디오'의 발명으로 국제발명전에서 준대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머리핀
도 라디오도 모두 신회장의 발명이 아니다. 신회장은 다만 이 두가지를 더했을 뿐이다. 빼 보자세상에는 빼서 좋아지는 것도 있다. 이것도 발명이다. 그래서 발명은 재미있는 것이다.우리 나라의 경우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05
생물이 웃고 있을 때 인간은 우는 것으로 보기 쉬우며 그 반대의 경우도 흔하다.인간은 다른 생물들과 다른 감각 세계를 살고 있다. 즉 다른 생물들이 보고 듣고 냄새맡고 느끼는 일을 결코 동일하게 따라 할 수 없다. 따라서 생물의 감각세계에 대한 오해가 수없이 많다.가령 풀밭에 화려하게 피어 ... ...
나의「로미오」-수학
과학동아
l
198905
수학은 로미오처럼 날 좋아하지만 시간은 줄리엣의 아버지처럼 냉정하다. '도대체 왜 수학을 전공하느냐'는 질문을 내게 하면서도, 복잡한 미적분 문제를 풀고 있는 후배가 있다면 이렇게 대답해주고 싶다."사랑하는 아우야, 5분만 놀다가 같이 풀어보자. 수학은 우리 기대를 저버리지 않아. 우릴 ... ...
이전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