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막대함"(으)로 총 5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대와 x로 알아본 동서양의 방정식수학동아 l201409
- 17세기 비슷한 시기를 산 동·서양의 두 수학자 데카르트와 홍정하. 두 사람은 모두 방정식에 일가견이 있는 수학자들이다. 데카르트는 오늘날 전세계 사람들이 쓰고 있는 문자 를 처음 도입했고, 조선 최고의 수학자로 손꼽히는 홍정하는 자신의 저서 에 방정식의 산대 표기를 처음으로 쓴 ... ...
- [생활] 계산을 쉽고 편리하게! 소수점과 순환소수수학동아 l201407
- 무당벌레, 치타와 같은 생물은 물론 옷이나 그릇 등 다양한 물건에서 우리는 쉽게 점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점은 문장에서 한 문장이 끝났음을 알려 주는 마침표로도 사용되고, 수학에서는 위에 붙어 있는지 아래 붙어 있는지에 따라 소수점이나 순환소수로도 사용된다. 수학에서의 두 점, 소수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06
- 여러분은 오감 중 무엇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많은 분들이 시각을 꼽을 겁니다. 실제로 인간의 뇌가 처리하는 정보의 약 80%가 시각이라고 합니다. 특히 색을 구분하는 ‘색각’은 현대인의 삶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과 초록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적록색약인 사람은 교 ... ...
- 절벽에 매달려 꿀을 따다과학동아 l201405
- 짚으로 엮은 사다리 줄에 한 발을 디딘 노인이 벼랑 끝에 매달린 채 벌집을 응시하고 있다. 집어삼킬 듯 소용돌이치는 수백만 마리의 벌떼와 깎아지른 절벽이 노인의 목숨을 노리고 있지만, 먹이를 노리는 날카로운 사냥꾼의 눈빛은 일말의 공포도 없이 매섭게 벌집에 꽂혀있다.프랑스 사진작가 에 ... ...
- 카페 들어서면 저절로 휴대전화 충전과학동아 l201405
- 임춘택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팀은 “무선전력전송장치에서 5m 떨어진 곳에 있는 LED TV 전원을 켜는 데 성공했다”고 4월 17일 밝혔다. 스마트폰 40대를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전력(209W)을 5m 밖에서 무선으로 보냈다는 뜻으로, 관련 기술 가운데 가장 거리가 길다.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2007 ... ...
- ÷가 상형문자의 원리로 만들어졌다고?수학동아 l201403
- 유럽에서는 빼기로 쓰이던 ÷오늘날 쓰고 있는 나누기 기호÷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쓰여진 나누기 기호는 또 있다. 바로 ‘:(콜론)’이다.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는 1684년 독일의 첫 번째 과학 저널 에서 비율과 나누기를 나타낼 때 이 기호를 사용했다. 하지만 이 기호는 나누 ... ...
- INTRO. 인류는 전쟁을 멈출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02
- 인간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쟁은 대량 살상이라는 비극을 연출하기도, 과학기술 혁신이라는 선물을 주기도 했다. 인류 역사상 지식이 가장 진보한 21세기, 이제 인류는 전쟁을 어떻게 다뤄야할까. 올해는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지 100주년. 1차 세계대전은 전방과 후방이 ... ...
- GALAXY는 WARP중과학동아 l201402
- 새로운 은하의 모습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워프’다. 휴대전화 통신사의 서비스 이름으로, 또 SF 작품에서 ‘순간 이동’을 의미하는 용어로 친숙한 단어다. 하지만 천문학에서 말하는 워프는 다른 뜻으로, 은하가 어떤 이유로 휘거나 뒤틀리는 현상을 의미한다.은하가 순간이동 하는 모습 ... ...
- 물컹물컹 움직이는 신기한 유리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401
- 뜨겁고 물처럼 흐르는 유리가 있다면 믿어지나요? 대부도 유리섬 박물관에 가면 물컹물컹 움직이는 신기한 유리를 볼 수 있대요! 오지훈, 정수빈 명예기자와 함께 신기한 유리 세계로 떠나 볼까요~!여기에 있는 모든 것들이 다 유리로 만들어졌대.우와~, 진짜? 유리는 창이나 그릇으로만 쓰는 줄 알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01
- 빈 둥지.초겨울 특유의 스산한 기운이 감돌던 지난해 12월 2일 오후, 대전 문지동에 위치한 카이스트(KAIST) 문지캠퍼스를 찾았다. 이곳 한 켠에 마련된 국가핵융합연구소 이터(ITER)한국사업단의 초전도연구개발동을 찾았을 때, 문득 ‘빈 둥지’라는 말이 떠올랐다. 한때 이곳은 핵융합 발전의 핵심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