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체
교대
교류
전환
변화
치환
대체
d라이브러리
"
교환
"(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1312
교류도 진화를 촉진했습니다. 원래 인류는 초기부터 끊임없이 여러 지역과 유전자를
교환
했습니다. 그러다 1만 년 전에 농경이 발달하고 그 후 국가가 세워졌습니다. 인류는 유라시아와 아프리카의 대륙을 넘나들게 됐고, 교류가 폭발적으로 늘며 유전자의 다양성을 무서운 속도로 퍼뜨렸습니다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1
표현할 수 있다. 새로 단어를 만들기도 하고 서로 다른 단어를 조합하기도 한다.언어의
교환
성사람은 남녀가 같은 언어로 소통할 수 있다. 반면 닭과 같은 동물은 수컷이 낸 소리의 의미를 암컷이 알지 못해 소통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언어의 전위성사람은 지금과 여기가 아닌 상황(전위)을 언어로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키스가 짝짓기 상대를 선택하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한다. 키스할 때 두 사람은 서로 침을
교환
하고 상대의 냄새를 맡는다. 그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상대가 함께 지내며 아이를 기르기에 적합한 사람인지 판단한다는 것이다. 괜찮은 사람인 것 같아서 만났는데 막상 키스를 해 보니 느낌이 오지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
과학동아
l
201311
장관, KAIST 초대 학장 등을 역임했다. 1982년 한국전기통신연구소 소장 시절에는 “전전자
교환
기(TDX)를 개발하지 못하면 어떤 처벌이라도 받겠다”는 각서를 쓴 뒤, 1000억 원이 넘게 투입되는 무모한 국책사업이라는 비난을 극복하고 4년 만에 TDX 국산화에 성공해 ‘1가구 1전화 시대’를 열었다. 198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 김 교수가 관심을 가진 부분은 학계에서 찾아내지 못한 틈새다. 김 교수는 나중에
교환
교수로 갈 기회도 많고 갈 데도 많지만 국내서 벌여놓은 일이 많아서 떠나지를 못한다. 그는 꼭 유학이 아니더라도 자신만의 길을 찾는다면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꼭 유학이 아니더라도 국내 ... ...
내 생애 마지막 휴대폰 - 폰관리 피부관리보다 힘들다
과학동아
l
201310
역시 배터리를
교환
할 수 있도록 뒷면만큼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이다. 반대로 배터리
교환
기능이 없는 아이폰5는 뒷면을 단단한 금속으로 마감했다.하지만 플라스틱의 단점도 있다. 한 교수는 “고분자 물질인 플라스틱 특성상 분자 사이에 틈이 많아 이물질이 잘 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 ...
10화 주사위의 방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10
않는 주사위의 숫자까지 예상하라는 말이야?”하루의 질문을 듣고 주사위맨들은 눈빛을
교환
하더니 말했다.“네 말이 맞아. 하지만 주사위들 사이에 겹쳐진 부분은 더하지 않는 거야. 주의하라고.”주사위맨의 말에 폴이 주사위 타워를 노려봤다.“윽, 보이지 않는 면에 어떤 숫자가 써 있는지 ...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09
전체에 널리 퍼져 있었습니다. 그러다 아프리카에서 퍼져 나온 현생인류집단과 유전자
교환
을 했고(즉 피가 섞였고), 특히 적응에 유리한 데니소바인의 유전자가 현생인류 안에서 계속 살아남았다는 해석입니다.그렇다면 아시아에서는 왜 데니소바인의 DNA가 발견되지 않을까요. 혹시 오늘날의 ... ...
암호문의 끝판왕은?
과학동아
l
201309
바꿔 쓰는 ‘전치암호’다. 기원전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 군대가 비밀 정보를
교환
하는 데 썼다. ‘스키테일’이라는 원통막대에 긴 양피지 리본을 감아 문장을 가로로 쓴 뒤 풀어 보낸다. 리본을 받은 쪽은 똑같은 원통 막대에 감아 문장을 알아본다.카이사르가 사용한 암호로마의 율리우스 ... ...
실감형 스마트워크 - 회사는 일주일에 한 번만 간다
과학동아
l
201309
같은 원격으로 이뤄지는 새로운 산업도 생길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단순히 메시지를
교환
하고 문서를 주고받는 것 이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도 연구 중이다. 실제로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서로 함께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텔레프레즌스’ 기술이 바로 그것이다. 고화질 비디오, ... ...
이전
4
5
6
7
8
9
10
11
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