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하기"(으)로 총 2,106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미세먼지 의문을 털다과학동아 l201703
- 미세먼지는 말 그대로 미세하게 작은 먼지를 말한다. 입자의 크기에 따라 PM10과 PM2.5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미국환경보호청(EPA)은 PM10을 지름 10μm(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 PM2.5는 지름 2.5μm 이하로 정의하고 있다.한국에서는 PM10을 미세먼지, PM2.5를 초미세먼지라고 부르지만, 엄밀히는 둘 다 그냥 ... ...
- [소프트웨어] 평범한 듯 특별한 SW 수업수학동아 l201702
- 정보 수업 교실에 미리 와 있던 고등학교 2학년 3반 학생들은 실습실 벽면을 둘러싸고 늘어서 있는 컴퓨터 앞에 앉아 게임을 하고 있었다. 특이하게도 교실 가운데에 책상이 둥글게 배치돼 있었다.“자, 여러분. 수업 시작할게요. 하고 있던 일 모두 멈추고 가운데 책상으로 오세요.”정보 교육을 담 ... ...
- [가상인터뷰] 해마 유전체 완전 해독!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안녕~!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마스코트 과학마녀 일리야. 요즘 새로운 관심거리가 생겼어! 바로, 해양생물이지. 푸푸와 나는 모두 바다 속에 살아 본 적이 없어서 해양생물들을 보면 정말 신기해!얼마 전 수족관에 놀러갔는데, 독특한 생김새를 가진 해마 한 마리가 해초에 꼬리를 돌돌 감고 쉬고 ... ...
- [Career] 시멘트 없이 콘크리트 만드는 과학 연금술사과학동아 l201702
- 시멘트 공장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 중 하나다. 시멘트를 1t 생산할 때 0.9t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연간 생산되는 시멘트 양은 약 40억t. 여기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36억t으로, 인공적으로 만들어지는 전체 이산화탄소 양의 8%다. 하지만 시멘트 제조 기술은 현재 한계에 이르러 생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02
- ‘독감’이라고 하면 ‘독한 감기’를 줄인 말처럼 들린다. 그러나 사실은 감기와 독감은 전혀 다르다. 감기는 라이노바이러스와 코로나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같은 여러 바이러스가 코나 목에 침투했을 때 걸리는 질환이다. 콧물과 목 아픔에 시달리다가도 며칠내에 자연적으로 낫는다. 하지만 ... ...
- [헷갈린 과학] 닮았지만 천적 관계인 늑대 VS 코요테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늑대는 춥고 먹을 것이 부족한 겨울이 돼도 겨울잠을 자지 않는 동물 중 하나예요. 추위에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온동물이고, 사슴이나 산양 등 겨울에도 깨어 있는 초식동물을 먹기 때문이죠.사냥을 할 때는 보통 한 쌍의 부부늑대가 10~20마리의 늑대 무리를 이끌며 진을 치고, 편대 ... ...
- Part 1. 변종 플루 HXNX과학동아 l201702
- 툭! 아, 또 떨어졌나 보네? 처음에 봤을 때는 너무나 꺼림칙했는데(무서워서 며칠 동안 창문으로 넘어 다님) 나중에는 아무렇지도 않았다. 몇 주 전부터 하늘에서 죽은 비둘기가 후두둑 떨어졌다. 지금껏 지구상에 없었던 변종 인플루엔자 때문이었다.문제는 비둘기만 이 독감에 걸리는 게 아니라는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02
- 지난 가을에 나타난 인플루엔자가 해가 바뀐 지금도 맹위를 떨치고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는 이번 겨울, 한층 더 기세를 올려 전국적으로 양계산업을 위협하고 있다. 결국 정부에서는 계란 수입이라는 유래 없던 결정을 내렸다.사람 인플루엔자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2월부터 전국에 A형 독감이 유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수학동아 l201701
- #KAIST #수리과학과 #졸업 #청년 #돼지고기……?위 5개의 해시태그 중 생뚱맞은 게 하나 있다. 돼지고기다. 앞의 4개는 연관이 있어 보이지만 돼지고기는 어울리지 않는다. KAIST 수리과학과를 졸업한 청년이 돼지고기와 무슨 관련이 있다는 걸까?KAIST 수리과학과 졸업생과 돼지고기의 연관성을 찾기 위 ... ...
- Intro. 0과 1을 넘어서, 3진법 엔지니어링과학동아 l201701
- 20 세기는 2진법의 시대였다. 컴퓨터와 전자기기가 0과 1로 이뤄진 2진법에 기반을 두고 작동했기 때문이다.21세기 중반을 향하고 있는 현재까지도 컴퓨터, 전자공학에서 2진법의 아성은 공고하다. 하지만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인공지능(AI) 시대를 앞두고 2진법 체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고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