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스페셜
"
존재
"(으)로 총 2,01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베누’의 시료를 기다리는 3개의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8
베누 전체에 탄소 성분이 있다는 점과 함께 물을 포함한 필로규산염 광물이 광범위하게
존재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자주색 영역에서 필로규산염 광물 성분이 많을수록 붉은색을, 적을수록 푸른색을 띤다. 연구팀은 탄산 성분이 골고루 있다는 사실은 베누가 큰 소행성에서 떨어져나왔다는 사실을 ... ...
[프리미엄 리포트]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
2020.11.07
내의 모든 관찰자(시간꼴 궤적)와 갇힌 표면 사이에 초점이 형성되지 않는 빛의 궤적이
존재
해야 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대역적 결론). 논증을 더 이어가면 국소적 결론과 대역적 결론으로부터 모순을 도출해낼 수 있고, 그러므로 가정은 참일 수 없다. 이 결론들은 물리학적 내용을 담고 있지만,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속내를 금방 들키는 사람
2020.11.07
더 특화된 신체반응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왜 이런 쓸데없어보이는 신체 반응이
존재
하는 걸까? 이에 대해 학자들은 얼굴 붉힘에 다음과 같은 쓸모가 있다고 이야기 한다. ① 누군가가 거짓말을 하고 있는 등 뭔가 옳지 않은 일이 벌어졌다는 정보를 준다(얼굴을 붉힘으로써 나의 잘못과 ... ...
"딥마인드가 여러개로 구성된 AI 주목하는 이유는 사람이 동시에 여러 사람과 소통하는
존재
이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안드레아 타케티 딥마인드 선임연구원이 이달 5일 열린 '차세대 AI 국제 워크숍'에서 발표하고 있다. 줌 캡쳐 “인공지능(AI)에서 멀티 에이전트(다개체)를 연구하는 이유는 3가지입니다. 우리가 다개체로 가득찬 세상에 산다는 점, 다개체를 연구하면 한 개체 아래 다개체를 둔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한국도 NASA 주도 민간 달 착륙선 사업에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달 표면에서 방사선 피폭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사선 측정기(LVRad)와 40억 년 전 달에
존재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달 자기장을 측정하는 달 자기장 측정기(LSMAG), 그리고 달에서 우주 날씨를 관측하는 장비(LUSEM)도 탑재체 후보로 개발하고 있다. 최 본부장은 “항우연이 개발한 달 궤도선이 202 ... ...
NASA 수석과학자 "달 탐사 '아르테미스'에 한국 참여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1.05
겪기 전 화성에는 물이 많았고 생명체가 거주 가능한 환경이었다”리며 “생명체의
존재
를 확신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현재는 퍼시비어런스가 화성을 향하고 있다. 작은 헬리콥터를 보유해 화성 대기에서 비행하며 화성 토양 시료를 지구에 가져올 계획도 하고 있다. 그린 ... ...
세계 최초 플라스틱 자석 만든 백종범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1.04
‘켐’ 2018년 8월자에 실렸다. 백 교수가 유기물 플라스틱으로 만든 유기물 자석의
존재
를 이론적으로 규명하면서 금속으로만 자석을 만들 수 있다는 통념이 깨지고 유기물 플라스틱을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연구팀은 현재 녹슬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고 1984년 이들이 네 가지 옵신으로 색을 본다는, 4색형 색각을 지닌
존재
라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뒤이어 어류와 양서류, 파충류도 자외선을 볼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심지어 몇몇 어류와 파충류 역시 4색형 색각을 지닌 것으로 밝혀졌다. 그 뒤 옵신 유전자가 해독되고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⑥미래의 인재상: 대학 교육의 변화 방향은?
2020.11.03
노동을 통해
존재
의 의미와 삶의 가치를 느껴 왔던 인간에게, 노동이 감소하는 미래에 그
존재
이유를 부여할 새로운 대안이 학습이다. 미래에는 실용적인 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학습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한 인문학 중심의 교양 교육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1852년 존 헨리 뉴먼이 《대학의 ... ...
[코로나19 연구속보] 학교가 코로나19 감염 '핫스팟'이 아닌 이유
2020.11.03
어린 아이들과 비교했을 때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이를 전파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도
존재
한다. 과학자들은 이같은 현상에 대한 원인을 명확하게 밝혀내지 못했지만 나이가 많은 아이들이 감염률이 높다는 연구는 관련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독일 베를린 소재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