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스페셜
"
아래
"(으)로 총 1,21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규모 6.9의 강진이 발생해 5m의 단층이 이동했다. 8월 4일까지 이어진 폭발로 화산
아래
에서는 규모 4.7∼5.4 수준의 크고 작은 지진이 총 62회에 걸쳐 지속됐다. 화산 정상에서는 최대 80m 높이로 마그마가 분수처럼 솟구쳤다. 용암은 초속 100㎥에 해당하는 속도로 인근 해안과 마을 덮쳐 총 35.5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년을 산다는 것의 의미
2019.01.22
늘어난다. (위 그림)은 여성으로 5가지 다 나쁜 쪽에 비해 다 좋은 쪽이 14년이나 더 길다. (
아래
그림)은 남성으로 5가지 다 나쁜 쪽에 비해 다 좋은 쪽이 12.2년이 더 길다. ‘혈액순환’ 제공 연구자들은 1980~2014년, 1986~2014년까지 실시된 장기간 추적 연구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시작할 때 12만3219명에서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코딩 교육, 과연 필요한가?
2019.01.21
원하는 사람은 생겨났다. 시장은 그들의 구매력을 가만히 두고 보지만은 않는다. 그
아래
로 “경력단절여성, 계속되는 광탈에 지쳤다면?”이라는 자극적인 문구도 눈에 띄었다. ‘코딩지도사’ 양성 과정에 대한 광고다. 코딩교육 의무화 이후 수요가 폭발할 직종이라는 설명이다. 6주만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욕하면서). 그런데 이런 무식한 상사 이상으로 스트레스를 주는 유형이 있다. 바로
아래
직원의 공을 가로채는 상사다. 큰 성과를 내서 진급도 되고 연봉도 꽤 오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되지 않아 알아보니 상사가 자기 성과로 둔갑시켜 보고한 것이다. 유능한 사람일수록 이런 일을 당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넓혀야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를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보면
아래
와 같은 순서 아닐까. 1. 무엇을 : 고기를 줄이고 채소를 늘린다. 힘들면 장내유익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식물 식이섬유)라도 챙겨 먹는다. 2. 언제 : 12시간 이내에만 음식을 먹고 아침은 든든히 저녁은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생산하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했다(
아래
사진). 2016년에는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쉽게 분해되는 친환경 고분자물질인 폴리락테이트코글라이콜레이트(PLGA)를 만드는 대장균을 만들어 발표했다. 박진병 이화여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2016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양이 혓바닥이 까끌까끌한 이유
2018.12.25
때문이다. 위는 고양이 혀의 단면(왼쪽)과 말렸을 때 돌기가 일어선 모습(오른쪽)이고
아래
는 이를 모방해 만든 빗이다. 일반 빗과 비교한 결과 고양이 혀를 모방한 빗의 성능이 훨씬 더 뛰어났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페르시아고양이는 관리가 필요해 개에는 훨씬 못 미치지만 고양이도 ... ...
'어디서부터가 우주일까' 우주 경계 "고도 기준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토마스 가갈 미국항공우주학회 연구원은 “우주 경계선을 설정한다면 미국이 경계
아래
에서 타국의 영공을 통과하는 경우 제지를 받을 수 있기에 경계를 흐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민간기업들이 우주 개발에 뛰어드는 것도 우주 경계의 필요성을 부추긴다. 미국의 위성업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담은 DNA조각을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의 게놈에 넣어주면 나노항체를 만들 수 있다.
아래
흰 분자가 항원이다(오른쪽). ‘사이언스’ 제공 그런데 낙타 혈장에 전형적인 항체와 함께 특이한 항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통 항체는 Y자 모양으로 긴 사슬(heavy chain) 두 개와 짧은 사슬(light chain)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나노입자가 뭉쳐 미세먼지가 되고(위) 미세먼지가 뭉쳐 눈에 보이는 시커먼 검댕이 된다(
아래
). 미세먼지와 검댕의 전자현미경 이미지다. 야기엘론스크대 제공 우리가 흔히 ‘검댕’이라고 부르는, 매연에 포함된 시커먼 입자는 수많은 미세먼지가 뭉쳐져 있는 상태다. 그런데 화학에서 검댕의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