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 장기 공격한 코로나19 바이러스, DNA까지 변형시켜 합병증 오래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것을 밝혀냈다. 쥐를 분석해보니 카르복시산 순환 등
세포
가 에너지를 만들도록 돕는
세포
대사 과정이 심장과 신장, 비장, 폐 등에서 차단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렇게 변한 장기의 특성은 DNA 구조도 변화시켜 증상이 남고 유전까지 될 수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뎁 교수는 “코로나19를 ... ...
[팩트체크]정부가 확보한 백신 4종 종류와 원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체내 면역
세포
가 여기에 대응할 항체를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2차례 접종이 필요하다. 정부와 공급계약을 맺진 않았지만 중국 시노백은 불활성화 바이러스 방식의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전통적인 방식의 백신으로 ... ...
코로나19 항체, 면역체계 도움 없으면 효과 '별로'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바라우치 교수는 “항체만으로로 코로나19 감염에서 보호받을 수 있지만 농도가 적다면 T
세포
도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바로우치 교수는 “최근 임상에서 얻은 결과만으로 코로나19 백신들이 내년에 접종될 때 백신이 만든 항체와 인간 면역체계 사이 관계를 아는 것 또한 중요해질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막
세포
노화 되돌려 생쥐 시력 돌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6
생쥐의 시력을 되돌아왔다. 망막
세포
의 수와 신경 성장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망막
세포
의 수가 2배 늘었고 신경 성장도 5배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미국 생명과학회사 라이프바이오사이언스에 이전했다. 현재 연구에서 생쥐는 1년동안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싱클레어 ... ...
[코로나19 연구속보] 외부 바이러스로 코로나19 진단 속도·정확도 높인다
2020.12.03
하나는 식물 바이러스에 포함된 나노입자로부터 만들었고 다른 하나는 세균에 감염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는 바이러스를 일컫는 박테리오파지 나노입자로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양성 대조군은 환자 샘플과 함께 분석돼 진단 결과 양성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식물 바이러스 기반 ... ...
"쓸모없는 기초연구는 없다" 코로나 극복 터 닦은 7명 '황금거위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9가 출현하자마자 맥러란 교수팀은 스파이크 단백질의 핵심 부위에 단단히 결합해 인간
세포
감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항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겨울(Winter)’이라는 이름의 라마에서 얻은 항체를 이용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 ...
일반
세포
를 신경
세포
로 바꿔 뇌질환 극복한다…김종필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기술을 완성한 데 의미가 있다”며 “후속연구를 통해
세포
재생기술을 선도하는 혁신적
세포
치료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
중국 달 탐사선 창어 5호 달 표면에 착륙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000만년 전 토양과 암석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창어5호가 가져올 샘플은 지구에서 다
세포
생물이 진화하기 시작한 12억년전부터 있었던 비교적 젊은 달 토양이다. 미국이 앞서 가져왔던 샘플은 31억~44억년 사이에 형성된 비교적 오래된 토양과 암석으로 분류된다. 과학자들은 달 역사에서 가장 ... ...
수상 취소 인정 못하는 황우석 "상은 반납, 상금은 못 돌려줘"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고 밝혔다. 황 전 교수는 서울대 재직 시절인 2004년 세계 최초로 인간 배아줄기
세포
를 추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실었다. 하지만 곧 황 전 교수의 논문이 조작됐다는 사실이 밝혀져 서울대는 2005년 황 전 교수를 파면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2006년 황 전 교수의 제1호 ... ...
구글 AI, 생명과학의 미스터리 단백질 접힘 문제 해결 눈앞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활용해 단백질 접힘을 예측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CASP는 존 몰트 미국 메릴랜드대
세포
생물학 및 분자유전학과 교수의 주도로 1994년부터 시작해 2년마다 열리는 단백질 구조 예측 대회다. CASP 조직위원회는 대회가 열리는 해 여름부터 매일 1~2개씩 아미노산 서열을 공개해 대회가 열리기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