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본능! 싸이팝연구소 [제8편]
동아사이언스
l
2013.08.08
요청으로 앨범 재킷 속 금발의 8등신 미녀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김원섭 편집장은
천문학
부터 고인류학, 생명공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Lucy In The Sky With Diamonds를 사랑했던 과학자를 소개하며 다이아몬드 별과 에티오피아 커피, 환각제 LSD를 언급하는데... DNA 구조를 발견한 프랜시스 크릭은 ... ...
“LTE 황금주파수 잡아라” 최대 4조원 ‘錢爭’ 막 올라
동아일보
l
2013.08.02
대가를 치르고 차지할 수 있다면 지금까지의 부진을 단숨에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천문학
적인 돈을 퍼붓는다면 ‘승자의 저주’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KT가 인접대역을 확보해 시장을 잠식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1.8GHz 인접대역을 KT가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제공 "인간은 시적(詩的)으로 지상에 거주한다." - 휠더린 시야가 좁아서인지 필자는
천문학
에 무관심한 편이지만 그래도 지구에서 별로 보이지 않는 두 천체, 즉 해와 달(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천체를 아울러 ‘해와 달과 별’이라고 불렀다)을 보면 참 신비롭다는 생각이 든다. 해의 지름은 13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의 정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기둥처럼 차가운 가스의 기둥은 별이 탄생하는 거대한 지역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다.
천문학
자들은 이들 기둥을 별이 탄생하는 요람이라고 믿고 있다. 오랜 시간이 지나면 원뿔성운에서는 가장 밀도가 높은 지역만 남을 것이다. 이런 지역에서 별과 행성이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나아가 어느 ... ...
지구처럼 파란 행성이 있다?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6
그 색이 파랗다는 사실도 신기하다. 낮과 밤의 온도 차는 300도 2005년 10월
천문학
자들은 여우자리에서 모성(母星) 앞을 가로지르는 행성 ‘HD 189733b’를 발견했다. ‘HD 189733b’는 모성 앞을 지나는 외계행성 중에서 지구에 가장 가까이 있는 것 중 하나라고 한다. 행성 ‘HD 189733b’는 모성에서 ... ...
외계행성 탄생의 순간 잡았다
과학동아
l
2013.06.25
어떻게 만들어질까.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천문학
자들이 사상 최초로 외계행성이 만들어지고 있는 증거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6월 13일 볼티모어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는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지구에서 176광년 떨어져 있는 적색왜성 TW히드라에를 둘러싼 원시행성계 원반에서 큰 간극을 ... ...
이웃별에서 지구 닮은 행성 찾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이 현상은 다르게 나타나며, 이런 특징을 바탕으로 그 행성의 질량도 알아낼 수 있다.
천문학
자들은 배경에 멀리 있는 별들을 찍은 여러 사진을 검토해 그 별들의 위치가 실제 위치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렌즈 별’의 질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배경 별들의 위치 변화를 통해 ... ...
극초음속 항공기, 우리 기술로 만들어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4
이들 기술이 상용화될 경우 서울~미국 LA간 비행시간을 1시간대로 줄일 수 있고
천문학
적 비용이 들어가는 인공위성 발사비용도 10%대로 대폭 절감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기존 로켓은 연료 점화를 위해 거대한 산소통을 매달고 비행을 해야 하는 반면 이 엔진은 연소에 쓰는 산소를 자체 흡입하기 ... ...
과학사를 알면 '科技강국' 가까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09
실험을 본격적으로 진행하게 됐다. 코페르니쿠스, 케플러, 갈릴레이로 이어지는
천문학
의 역사는 과학에서의 연속성의 의미를 깨닫게 한다. 그러나 ‘과학 혁명의 구조’의 저자인 토마스 쿤은 과학의 발전이 패러다임의 전환을 통해 혁명적으로 이뤄졌다는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 ...
‘창조의 기둥’ 속에 생명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3
알 속에 어머니 자궁 속에 들어앉은 태아처럼 실제로 잉태 중인 별이 있을까. 2002년 초
천문학
자들이 유럽남반구천문대의 지름 8.2m인 VLT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가 발표됐다. 먼지를 뚫을 수 있는 적외선으로 독수리성운의 ‘태아별’을 들여다봤다. 유럽남반구천문대 VLT망원경으로 촬영한 ... ...
이전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