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자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원자에너지
"(으)로 총 1,152건 검색되었습니다.
FT "신고리4호기 매일15억 손실"…원안위"원전 아직 미완 상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2
FT, 완공된 신고리 4호기 허가 지연으로 하루 15억 원 손실 발생 원안위, 적법한 허가절차中…한국 기준상 완공 아냐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신고리 원전의 전경이다. -한국수력원자력 홈페이지 제공 한국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속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외신 보도에 대해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자료를 ... ...
밤에도 ‘열일’하는 태양전지 개발되나
과학동아
l
2018.10.02
GIB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광전소재연구단과 연세대 물리학과 공동연구팀은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용 반도체를 개발해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8월 17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주목받는 인듐갈륨비소(InGaAs)를 이용해 태양 ... ...
[2018노벨상]입자물리서 시작해 반도체·우주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X선과 방사선을 발견해 1901년 첫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을 시작으로 1930년대까지 노벨 물리학상은 주로 X선과 방사선 관련 연구에 집중 수여됐다. 영국 물리학자 찰스 바클라는 뢴트겐방사선의 특성을 밝힌 공로로 1917년 물리학상을, 오스트리아 출신의 빅토르 헤 ... ...
레이저로 ‘극자외선’ 발생시키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8
이번 연구에 사용된 펨토초 레이저 압축 장치. 연구진은 압축 장치 속 여러 개 특수 거울을 이용해 레이저 펄스를 조절했다. 과학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초정밀 반도체 회로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극자외선을 생성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초강력레이저과 ... ...
지구온난화 막을 새로운 대안? 블루카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9.26
※편집자주. 올 여름의 폭염은 동아시아 뿐만 아니라 유럽과 북미 등 전지구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원인으로 지목되는 지구온난화는 대기 중 온실가스 증가세로 인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다는 경고도 들린다. 이에 최근 지구 온난화를 막을 새로운 대안으로 '블루카본'이 떠오르고 있 ... ...
DGIST-서울대, 뼈 속 칼슘 축적되는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국내 연구진이 뼈에 칼슘이 축적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기존 이론을 새롭게 수정할 근거가 되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문대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와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과 교수. 김용현 KAIST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교수는 20일 나노물질의 초기 성장과정을 설명 ... ...
미래 에너지 핵융합, 최초 ‘불씨’ 형성 과정 한국이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5
연구팀이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한 플라스마의 모습(왼쪽)과 실제 실험의 모습. - 사진 제공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인류가 ‘궁극의 미래 에너지’로 기대를 걸고 있는 핵융합은 매우 높은 온도에서 물질이 전자 등 전기를 띤 구성 입자 별로 뿔뿔이 흩어진 상태, 즉 ‘플라스마’가 되는 과정이 반 ... ...
[팩트체크] 어설픈 과기계 캠코더 인사 의혹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바른미래당 과기계 공공기관 친文 인사 지적 곳곳 허점…기관장 임기 못채운 기관 정작 빠지고, 당연직·전정부 선출 사례 뽑아 바른미래당이 지난 4일 ‘공공기관 친문 백서: 문재인 정부 낙하산·캠코더 인사현황’을 발표한 것을 두고 과학계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이날 ... ...
땅위 인공태양 KSTAR 실험 2만회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당시(2008년) - 동아사이언스 자료사진 한국형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를 이용한 ‘플라스마’를 발생 실험 횟수가 총 2만 회를 넘어섰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지난 4일 기준으로 KSTAR 플라스마 발생 실험이 2만회를 돌파했다고 5일 밝혔다. 수소와 수소를 융 ... ...
밤에도 전기 생산하는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연세대 공동 연구진이 낮에는 햇빛으로, 밤에는 진동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이 없는 밤에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24시간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스스로 전력을 충당하는 웨어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