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뉴스
"
역할
"(으)로 총 8,452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죽음 연구자' 김유선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제시한 이찬빈 부산대 생명시스템연구소 연구교수, 분자 단위 소재가 열전 디바이스
역할
을 할 수 있음을 밝힌 박소현 성신여대 화학에너지융합학부 조교수가 선정됐다. 학술진흥상 및 펠로십 수상자에게는 상장 및 상패와 함께 연구지원비 각각 3000만원과 500만원이 수여된다. 제23회 로레알 ... ...
마야 인신공양 희생자는 남자 어린이…"쌍둥이 신화와 연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치첸이트사는 사람 제물 의식 공간으로 악명이 높아졌지만 인간을 바치는 의식의
역할
과 맥락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세노테 인근 지하동굴 저수조 출툰에서 1967년 발견된 어린이와 청소년 유해 100여구 중 64구를 회수해 분석했다. 방사성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 결과 매장은 ... ...
[푸드테크 뜬다]③ 도축 없이 고기 먹는 시대…배양육 강점은 '안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쌀알에 심었는데 쌀 알갱이의 조직화된 구조가 동물 유래 세포를 수용할 수 있는 지지체
역할
을 했다. ‘스캐폴드’라고 불리는 지지체는 세포가 부착돼 증식·분화할 수 있는 공간이다. 소고기 쌀은 기존 쌀보다 단백질 함량 8%, 지방 함량은 7% 증가해 탄수화물 대비 다른 영양 성분이 부족했던 ... ...
뇌 안에 통증, 쾌락 '교차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표면측 영역, 복내측 전전두엽피질은 감정이 긍정인지 부정인지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했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자극이 전달되면 참가자가 보고한 감정 점수는 높아져 일정 수준을 유지했다가 자극 전달이 끝나면 서서히 낮아졌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통증과 쾌락의 수준을 예측하는 ... ...
6월 과학기술인상에 김승규 교수…해양 미세플라스틱 이동·축적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해양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구적 규모의 플라스틱 순환과 북극의
역할
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김승규 인천대 해양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 ...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 성공률 높인다…이식세포 사멸 원인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NFκB(핵인자 카파비)-p53 유전자' 신호전달 체계가 이식한 세포가 사멸하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임상 적용 가능한 순수 도파민 신경세포를 분리하는 항체도 개발했다. 항체 370개를 이용한 항체 스크린을 통해 순수 도파민 신경세포를 분리해 내는 항체를 발견한 것이다. ... ...
[과기원NOW] DGIST, 뇌 속 세포들 간 소통방법을 집대성한 종설 논문 발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형성을 돕고 새로 생긴 시냅스를 안정시키며 약하거나 부적절한 시냅스를 제거하는
역할
을 하는 세포다. ■ 포스텍은 장진아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와 황동규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이 바이오프린팅과 조직 조립 기술을 ... ...
실내조명 활용해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향후 실내조명 및 기기와의 결합을 통한 가스 센서의 상용화에 큰
역할
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6월호 속표지 논문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 ...
라그랑주점이 뭐길래...문 연 우주청, 탐사목표 제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전경. 동아사이언스DB 우주개발 구심점
역할
을 할 우주항공청이 지난달 30일 개청식을 하며 향후 수행할 우주 탐사 목표를 공개했다. 개청식과 함께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제1차 국가우주위원회'는 탐사 분야의 새 목표로 '제4라그랑주점(L4)'와 소행성 '아포피스' 탐사를 제시했다. L4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몸길이 4cm에서 1.2m까지 늘어나는 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원생생물의 목이 세포의 모양을 결정하는
역할
을 하는 ‘미세소관’이라는 긴 중합체에 덮여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미세소관은 스프링이나 코일 형태가 아닌 오리가미 형태로 접혀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접혀 있던 주름이 펼쳐지면서 순식간에 목이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