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조금
한모금
근소
약간
뉴스
"
소수
"(으)로 총 981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 아태 젠더서밋 ②] “젠더 혁신에 관심? 저는 여성이니까요”
2015.08.27
011년 성적(性的)
소수
자(LGBT·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성전환자)의 건강 특집을 기획한 적이 있습니다. 건강의학 분야의 대다수 연구는 성인에 편중돼 있고, 그 중에서도 특히 남성에 집중돼 있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모든 이를 위한 연구를 권장하는 것이 ‘랜싯’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 ...
‘물’로 반도체 만든다
2015.08.24
개발했다. 계면활성제는 한쪽은 물과 친한 성질(친수성)을 띠고 한쪽은 기름과 친한 성질(
소수
성)을 띤 물질. 반도체를 물에 녹일 때 이 물질을 넣어 주면 반도체를 물에 녹일 수 있다. 또 이 계면활성제를 넣어 제작한 반도체의 전하이동도는 기존 유기반도체뿐 아니라 실리콘 반도체와도 유사한 ... ...
수학 용어, 일상어로 바꾸면 더 어려워
2015.08.17
Number'(주요 수)를 직역한 것이다. 모든 자연수를
소수
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소수
는 자연수를 구성하는 주요 수라는 뜻이다. 박 교수는 “수학 용어가 생소하게 느껴지는 건 언어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그 용어가 만들어진 이론적·역사적 배경을 몰라서”라며, “수학 용어의 어원과 그 ... ...
암 유발하는 ‘염색체 파열’은 어떻게 일어나나
2015.06.14
적절한 교육이 사회경제적 혁신을 일으키는 사례로 소개됐다. 나이지리아가
소수
의 자원으로 중국의 값싼 컴퓨터와 다른 장비들을 수입해오고, 이를 통해 나이지리아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한 교육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콰디르 센터장은 기업은 어떤 일이 중요한지 정의를 내리는 역할이고,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과학자 아니어도, 과학 할 수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0
30만 명의 아마추어 과학자가 참여하기 때문에 3일이면 100만 장의 사진을 분석할 수 있다.
소수
의 과학자들이 해낼 수 없는 일을 일반 시민들이 하고 있는 것이다. 이날 세션에서는 독일과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이뤄지고 있는 다양한 시민 과학 프로젝트에 대한 소개가 이어졌다. 마지막 연사였던 ... ...
교사들 체험장 섭외하느라 진땀… 프로그램 부족-지역별 격차 절감
동아일보
l
2015.05.21
첫 시행을 앞둔 다른 학교에서도 이와 같은 혼란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게다가
소수
지만 학생들을 데리고 교육하는 일에 부담을 느껴 거절하는 곳도 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직업 체험장에 대가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협조를 얻으려면 순수하게 선의에 기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 ...
아침형 인간 vs. 저녁형 인간, 유전자 80여 개가 결정
2015.05.17
교수는 “생체리듬과 행동을 연관시킨 연구는 많지만, 유전자 수준에서 진행한 연구는 극
소수
”라며 “이번 유전자 관련 연구성과는 생체리듬의 불균형으로 인해 생기는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연구비 부정 사용했다간…‘삼진아웃제’ 도입
2015.04.07
위해 각 부처마다 부패신고 창구를 개설할 계획이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
소수
연구자 및 연구기관의 비리로 R&D 분야 전체가 신뢰를 잃을 수 있다”며 “연구 현장에서도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비 비리방지를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5.03.24
먹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습니다. 밀 알레르기나 셀리악병이 있는 사람은 1% 미만으로
소수
입니다. 글루텐불내증은 정확한 수치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글루텐을 못 먹는 사람이 있다”는 것과 “글루텐이 건강에 나쁘다”는 건 다르다는 사실입니다. 땅콩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 ...
[기자의 눈/김윤종] ‘책따’ 교실에도 희망이 있었다
동아일보
l
2015.03.19
넘었다. 시각은 다양했다. 일부 학생은 “우리 학교에는 이런 일 없는데, 특정 학교의
소수
케이스 아니냐” “원래 ‘왕따’라 친구가 없어 혼자 책이나 보는 것” 등의 부정적 의견을 내기도 했다. 하지만 상당수 학생은 “점심시간에 책 읽는데 친구들이 못 읽게 했다” “책 보면 눈치를 주는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