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갯속 운전, 눈 내릴때보다 위험… 치사율 4.2배
동아일보
l
2015.02.12
수 없었다”고 말했다. 도로 갓길에 10m 간격으로 악천후나 어두울 때 빛을 내는 동그란
반사
체도 운전자의 시야 확보에 도움을 주지 못했다. 안개 낀 도로에서 차가 지나가면 길가에 등이 자동으로 켜져 뒤차의 시야 확보에 도움을 주는 장치도 개발됐지만 영종대교에는 설치돼 있지 않았다. ... ...
[Health&Beauty]침실조명 밝으면 과체중·비만 확률 더 높아
동아일보
l
2015.02.11
연간 1.85kg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 인체는 외부의 추위를 견디기 위해 근육에서
반사
적으로 열을 생산하도록 돼 있다. 이 때문에 실내 온도를 지나치게 높이면 기초대사량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12월의 기초대사량이 8월보다 10%가량 높다. ... ...
지구 내핵에 또 다른 내핵 있다
2015.02.10
지표에 부딪혀 원래 위치로 돌아온 파(Ⅰ2)와 내핵을 통과할 때 외핵과의 경계에서 한 번
반사
되는 과정을 거친 파(Ⅱ2)의 시간 차에 집중했다. 둘은 내핵 외의 지역에서는 경로가 거의 일치하기 때문에 내핵의 구조를 살피기 적합하다. 연구진은 지진계의 위치에 따라 두 파의 도달 시간이 다르다는 ... ...
이제는 적외선까지 3D로 감지
2015.02.02
이름을 딴 것이다. 적외선은 빨간색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눈에 보이진 않지만
반사
, 흡수, 전달 등이 가능하다. 기존 감지기는 미세한 온도차에 따른 적외선 에너지의 세기를 영상으로 재현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적외선 에너지가 얼마나 많으며 어디로 가는 지 등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는 ... ...
겨울 설맹증 주의보, 보호장비 준비 못했을 경우엔?
동아닷컴
l
2015.01.21
전문의는 “꼭 흰 눈에서만 자외선
반사
율이 높은 것이 아니라 빙판도 눈처럼 높은
반사
율로 각막이 손상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안선글라스나 진한 농도의 색이 들어간 고글을 착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겨울철 설맹 주의보에서 나들이 시 선글라스 등 보호장비를 준비를 못했을 경우 안구를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것이다. 또 암석의 종류가 달라지면서 일부 전파는 통과하지 못하고 다른 방향으로
반사
됐다가 되돌아오기도 한다. 박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사개발연구실장은 “땅굴은 폭이 2m 이하로 좁은 편이지만 전파 분석으로 찾을 수 있다”면서 “비슷한 속도의 전파끼리 등고선처럼 서로 이으면 ... ...
[Happy New Year! 을미년] ‘푸른 양’ 정말 있을까
2015.01.01
여기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난다. 태양빛이 총천연색으로 분리된 뒤 청색만 외부로
반사
되기 때문에 우리 눈에는 화려한 청색으로 보이게 된다. 호주 연구팀이 주도하고 8개국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양이 400만 년 전 염소와 분리돼 오늘날과 같은 형태로 진화해 왔다고 지난해 6월 ... ...
청각만으로 길 못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12.29
시력을 잃은 대니얼 키시는 앞을 보지 못하지만 자전거를 탄다. 혀로 소리를 낸 뒤
반사
된 음파를 귀로 듣고 장애물을 피하기 때문이다. 마치 고래나 박쥐 같다. 혹시 사람도 귀를 제2의 눈 삼아 공간을 ‘볼’ 수 있을까. 독일 뮌헨대 러츠 위그레브 교수팀의 연구 결과를 보면, 청각만으로는 ...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반짝이는 ‘눈’~ ♬
과학동아
l
2014.12.23
교수는 “포유류의 눈에서 계절에 따른 색깔 변화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며 “순록은
반사
판을 조절하는 능력을 통해 빛의 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겨울에도 유연하게 대처하며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B’ 2013년 10월 30일자에 실렸다. ... ...
600V 강력한 전기 파워, 뱀장어의 사냥법
2014.12.07
영상으로 담을 수 있는 촬영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실제로 레이저 빛의
반사
와 굴절, 광자의 전달, 비정보성 전파를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지금까지는 나노 초 보다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난 현상은 1차원으로 밖에 촬영하지 못했다. 따라서 2차원 이미지를 얻으려면 전체 장면을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