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1,00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속 1200km로 이동하는 은하계 가장 빠른 별 발견
2015.03.08
내부에 있는 대다수의 별은 태양처럼 일정한 궤도를 도는 반면에 극소수 별은 은하계
바깥
을 향해 날아가고 있다. 이 별들은 대부분 은하 중심부로 향하다가 블랙홀에 의해 받은 힘으로 은하계 밖으로 날아간다고 알려져 있다. 하와이 마우나케아 산 정상에 설치된 지름 10m짜리 ‘켁Ⅱ’ ... ...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진화시킨 ‘뇌확장 유전자’ 찾았다
2015.03.01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유인원에 비해 인간의 지능이 뛰어난 까닭은 대뇌의 가장
바깥
쪽에 위치한 두꺼운 신피질(neocortex) 덕분이다. 인간의 뇌가 다른 동물에 비해 주름이 심한 이유도 신피질이 한정된 공간 안에 구겨져 빼곡히 담겼기 때문이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와일랜드 허트너 교수팀은 ... ...
‘킬링필드’ 상처 어루만지는 따뜻한 과학 원조
2015.02.27
화덕을 공개했다. 굴뚝이 없는 라오스 주택 구조를 고려해 땔감을 태울 때 나오는 연기를
바깥
으로 뺄 수 있도록 설계했다. 개소식에 참가한 시엥무아크 마을 주민들은 우리 돈으로 2만 원에 살 수 있는 화덕을 3000원 정도면 만들 수 있고, 연료도 40~50%가량 절감할 수 있다는 말에 큰 관심을 보였다. ... ...
뱃속 아기 성별 구별할 수 있다?
2015.02.25
수 있다는 속설이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는 상태다. 결국 엄마 배
바깥
으로 나오고 나서야 성별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이처럼 인간에게는 어려운 태아 성별 구분이 동물에게는 가능하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크리스틴 드리아 미국 듀크대 진화인류학과 교수팀은 ... ...
[3월 운영, 경주 방폐장 르포] 해외 방폐장은 어떻게 운영되나
2015.02.25
작센 주의 아센 방폐장은 차수벽에 미세한 균열이 생기면서 세슘137 등 방사성 물질이
바깥
으로 다량 누출돼 2011년 4월 보관 중이던 폐기물 12만6000드럼을 모두 꺼내 옮긴 전례가 있다. 폐기물 이전에만 10년이 걸렸고, 비용은 40억 유로(약 5조300억 원)가 들었다. ... ...
단조로운 직선구간이 사고위험 커
2015.02.17
단독사고의 사망률이 훨씬 높았다. 즉 곧게 뻗은 고속도로에서 졸음운전 등으로 도로
바깥
으로 튀어나간 사고가 훨씬 위험성이 높았다는 의미다. 도로교통공단 전북지사에 따르면 자동차 끼리 충돌하거나 추돌하는 ‘차대차’ 교통사고가 298건(사망2명·부상742명)으로 가장 많았다. 차가 사람을 ... ...
[Health&Beauty]약해진 봄 피부에 부드러운 손길을
동아일보
l
2015.02.11
느낌일 뿐. 때는 피부의 맨
바깥
에 밀려나온, 죽어 있는 각질을 말한다. 피부의 가장
바깥
층을 구성하는 각질은 죽은 세포이긴 하지만 피부 보호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각질층에는 기름샘에서 나오는 유분과 땀, 먼지가 함께 있는데 이런 것들이 적당히 있어야 피부가 건강하다. 때를 심하게 밀면 ... ...
지구 내핵에 또 다른 내핵 있다
2015.02.10
따라 속도가 달라지는 ‘이방성(anisotropy)’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내핵의
바깥
에 해당하는 상부 내핵의 결정은 남북 방향을 향하고 하부 내핵은 결정이 동서 방향을 향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송 교수는 “이방성은 물질의 구조와 성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내핵의 구조와 조성을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물분자가 응축하지 못하고
바깥
쪽은 얼음으로 존재한다. 초기목성의 중력섭동으로 눈선
바깥
쪽의 얼음을 함유한 소행성이 안으로 들어와 지구에 떨어져 물을 공급했다는 것이 현재 유력한 지구 물의 기원 시나리오다. - WHOI 제공 논문 말미에 있는 참고문헌들을 추적해 몇 편을 보고나서야 지구 ... ...
[동아쟁론]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운전 연장
동아일보
l
2015.01.30
발전단가가 오히려 경수로에 역전됐다. 부지 측면을 보자. 일반 경수로는 약 600m 거리
바깥
에 주민 거주를 허용한다. 중수로는 이 거리가 1km에 육박함에도 발전용량이 작아 면적당 발전효율이 경수로의 5분의 1에 불과하다. 중수로는 건설비 절감을 위해 격납건물에 강철판을 덧대지 않아 그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