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e스포츠 경기장이?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팀이 31킬을, 원생입니다만문제라도 팀이 15킬을 기록하며 선취점을 땄다. 이어
진
두 번째 경기에서도 이대로포카전나감 팀이 40킬 대 8킬로 기세를 몰아붙였다. 두 경기 모두 1만 골드 이상 차이가 났다. 포스텍은 왜 e스포츠 경기장을 만들었을까해외 대학 몇 곳에서도 e스포츠 경기장을 열었다. ... ...
우크라이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러시아가 미국과의 ISS 사업에서 철수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러시아에 가해
진
경제제재가 가장 큰 이유다. 안 팀장은 “ISS는 러시아와 미국의 우주개발 협력의 상징이자, 인류의 과학기술 유산으로서의 의미가 큰 만큼 러시아의 철수는 앞으로 우주개발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특히 ... ...
[SF소설] 샛별등대를 띄우는 사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내 안에 깃든 것은 은하는 아니다. 어차피 나의 존재 역시, 은하가 설계한 아광속 엔
진
을 탑재한 세대우주선, 샛별등대호가 만들어짐에 따라 계속 복제되어 그 배와 함께 할 것이다. 우리들은 그 샛별등대호에서 사람들이 살아가고 싸우고 조금 닮고 다른 모습으로 이어져가는 모습을 지켜볼 것이다.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랭턴의 개미’를 만들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랭턴의 개미’는 미국 컴퓨터과학자 크리스토퍼 랭턴(사
진
)이 발견한 세포자동자의 한 종류예요. 세포자동자는 단순한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장치입니다. 랭턴의 ... 같은 모양을 그리며 반복하게 돼요. 2번 그림 속 꼬리처럼 생긴 부분이 반복된 모양들이 모여 만들어
진
그림이랍니다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미상 그림들의 출처를 찾아내는 거죠. 우리가 이름이 없지, 기술이 없어요?”나는 힘 빠
진
미소를 짓다가 박물관 기둥을 쳐다봤다. 그리고 돌을 옮기는 사람들의 모습을 머릿속에 천천히 그려갔다. 박문영 제1회 큐빅노트 단편소설 공모전을 통해 소설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리면서 놀자’ ‘ ... ...
[인터뷰] 휠체어가 꽃가마가 된 사연은? 유튜버 구르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그럼 휠체어를 탄 사람은 어떻게 대피해야 하나요? 이 영상을 보면서 나와 다른 몸을 가
진
친구가 비상상황에서 어떻게 대피할 수 있을지 고민해주셨으면 해요. 담당 기자의 추천 영상! 장애인이 된 이유가 궁금한가요?장애인을 만나면 어쩌다 장애인이 되었는지 묻는 사람들이 있어요. 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오늘은 나도 애국자! 마법처럼 태극기가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5호
: 물에 잠긴 휴지는 난반사가 줄어 투명하게 보인다.휴지(종이)는 셀룰로오스로 이뤄
진
나무를 갈아 아주 얇게 펴 만듭니다. 아무리 얇은 휴지여도 투명하지 않고 흰색으로 보여요. 휴지는 수많은 기공(구멍)으로 이뤄져 있거든요. 빛은 휴지를 통과하다가 기공을 만나 난반사를 일으킵니다.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1화. 마누팩토 행성의 프로보, 프로보, 또 프로보 ...?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5호
+ 놀이북 10쪽과 함께 보세요! 지난 줄거리. 해롱 호 대원들이 몸을 녹였던 온천수는 괴물 ‘부르르’의 오줌이었다. 대원들은 착한 우왁족의 도움을 받아 부르르 ... 일이야? 빨리 프로보를 찾아야겠어!’ 프로보와 똑같이 생긴 로봇들이 이상하게 굴고 있어!
진
짜 프로보는 어디에 있지? ... ...
[핫이슈] 가장 정확한 인간 게놈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이는 수많은 과학 연구와 질병 치료에 기여했다. 특히 인간게놈프로젝트로 밝혀
진
유전자를 통해 지난 20여년간 ‘GRCh38’은 인간 표준 유전체로 사용되며 인간의 유전학에 기초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남아있어 염기서열을 수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 연구를 ... ...
[특집] 식량 위기의 뿌리엔 농사가 있다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때문에 곡물 생산량이 계속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수출용 곡물 확보를 위해 밭에 떨어
진
이삭을 줍는 것도 처벌하고 숨긴 곡물까지도 단속하는 등 억압적인 정책을 펼쳤다. 최근에는 이 사건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보려는 시도도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농업과 정부 정책, 정부의 대응처럼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