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그리고 아메리카와 아시아를 합쳐 ‘아마시아’라고 이름 지었다.과연 약 2억 년 뒤 세계지도는 어떻게 생겼을까?우리 중에 그걸 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겠지만, 수학과 과학으로 미래를 상상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재미있다.도움 및 논문 : 최덕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번째 제자를 만날 예정이에요. 우리나라에서는 수리생물학이 생소한 분야인데, 열심히 지도해 좋은 학자가 되도록 돕고 싶어요.외국에서 수리생물학은 많은 사람들이 활발하게 연구하는 학문이에요. 우리나라에서도 이 분야가 성장할 수 있도록 해외 석학도 초청하고, 학회도 열려고 해요. ... ...
- [쇼킹 사이언스]눈이 두루마리처럼 둘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시작하거든요.그런데 이때도 조건이 까다로워요. 바람이 아주 세지도, 아주 약하지도 않은 시속 40~60km 정도일 때 잘 만들어지거든요. 바람이 너무 약하면 눈이 굴러가지 않고, 너무 세면 눈이 바람에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가장 먼저 구르기 시작한 맨 안쪽 눈은 층이 얇고 서로 붙어 있는 ... ...
- [News & Issue]천체물리학저널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나올 정도. 현재 편집장인 에단 비쉬니악이 송 군의 지도교수인 박석재 박사의 대학원 지도교수인 점에 의심을 품는 사람도 있다. 천체물리학저널은 송 군의 논문을 철회하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금이 간 신뢰가 회복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접는 횟수(위에서 아래로, 또는 그 반대로 접는 횟수)갤리번의 공식을 개선하다학생들은 지도교사인 이동화 선생님과 함께 갤리번의 공식도 공부했다. 그런데 양쪽 방향 공식의증명 과정은 인터넷에서 아무리 찾아봐도 나오지 않았다. 선생님은 ‘갤리번이 당시에 우리 학생들과 동갑이었으니 아마 ... ...
- [News & Issue]울산 1만 명 게놈 프로젝트 시작!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생활에 응용될 수 있는 유전자 분석 결과를 만드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한국인 게놈 지도를 완성해 맞춤형 의료에 활용하고, 프로젝트 결과를 국내의 다른 연구소와 기업에도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이끄는 박종화UNIST 게놈연구소장은 “이번 프로젝트가 생명과학 분야의 ... ...
- 명태가 사라졌다?! 新바다밥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1호
- 이 배들은 탐구 20호, 21호와 동시에 동해, 남해, 서해를 다니며 더 정확한 물고기 지도를 그리기 위해 탐사에 나설 예정이랍니다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2008년 명태 어획량이 ‘0’을 기록하면서 우리나라는 충격에 빠졌어요. 그래서 2014년부터 해양수산부는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스피루리나에 대해 알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5~6학년 생명의 연속성, 균류 5. 수업 지도 순서곤충을 먹어본 적이 있는지, 곤충식량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 등 호기심을 자극하는 질문을 통해 수업에 대한 관심을 유도한다. ▶ 미래에 식량이 부족해질 수 있다는데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 ... ...
- [교과연계수업] 팔방미인! 드론 파헤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수 있다.③ 드론의 현재와 미래의 모습을 알 수 있다.4. 교과 연계무 학년 과학5. 수업 지도 순서최근 드론으로 우편 배송에 성공한 뉴스를 찾아 함께 보고 드론의 다양한 쓰임을 소개한다▶ 드론이 어떻게 날 수 있는지 드론이 나는 과학적 원리를 설명한다 ▶ 드론이 현재 어떤 모습으로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시제품으로 만들 수 있도록, 서면 평가(아이디어 제안서)를 통해 본선에 진출한 20팀의 지도교사ㆍ교수에게 멘토링 지원비를 지급한다는 점이다. 고등부는 총 10개 팀이 100만 원씩, 대학(원)부는 총 10개 팀이 200만 원씩 지원 받았다. 정 실장은 “학생들이 비용 부담 없이 에너지 기술을 체험토록 하는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