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합
총괄
통일
포괄
총람
융합
토탈
d라이브러리
"
종합
"(으)로 총 2,16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뒤 어떤 삶을 살게 될까. 우주인으로 선발되기 전 KAIST 연구원이었던 이소연 박사는 삼성
종합
기술연구원의 연구원 출신인 예비우주인 고산 씨와 함께 연구자의 삶을 이어갈 전망이다.이 박사와 고 씨는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소속 연구원이다. 이들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2년 동안 ... ...
AI와 싸우는 첫 번째 강력 백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제어·통신·계산 등 일반적으로 정보를 다루는 학문의 체계화를 시도하여 이 새로운
종합
과학에 이 이름을 붙였다항생물질의 하나 방선균(放線菌)의 일종인 스트렙토마이세스 오르키다케우스(Streptomyces orchidaceus) 또는 스트렙토마이세스 가리팔루스에서 생산되는 물질이며, 간단한 이소키사졸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통해 자신을 포함한 10명의 지원자를 받아 게놈을 해독하고 있다.의협 창립 100주년기념
종합
학술대회 참석차 방한한 처치 교수는 기자 회견에서 “인종별, 민족별 유전자 지도가 다를 수 있다”면서 “미국이 백인들을 중심으로 개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만큼 한국이 동아시아인의 게놈 분석을 ... ...
2008 중학생과학올림피아드로 오라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그 결과 이들은 실험 영역에서 뛰어난 점수를 받았다. 결국 한국 팀은 금메달 2개를 따며
종합
4위라는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올해 IJSO는 12월 7일 경남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화려한 막을 올린다. 전세계 60개국에서 약 700명의 중학생이 모여 벌일 통합과학의 축제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 ...
감자의 인기가 급상승한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J C 맥스웰이 그때까지 알려져 있던 몇 가지 전자기현상을 4개의 간단한 방정식으로
종합
하여 정리한 것이며 후에 H R 헤르츠에 의해 발전되었기 때문에 맥스웰-헤르츠의 전자기방정식이라고도 한다이들 방정식은 적분형식으로 표시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미분방정식으로 표시된 것을 ... ...
자몽의 쓴맛, 몸에는 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매사추세츠
종합
병원의 의학연구팀은 자몽이나 감귤류에 들어 있는‘나린진’이란 물질이 C형 간염바이러스의 이동을 막는다는 사실을 알아 냈어요. C형 간염바이러스가 우리 몸에서 만성간염을 일으키려면 감염된 간세포에서 나와 다른 간세포로 옮겨가야 하는데, 이 과정을 나린진이 방해하는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예측할 수 있어요. 이를 위해 여러 나라의 과학자들이 공동연구와 자료교환을 통해
종합
적인 연구를 하고 있어요. 세종기지는 이런 국제 연구과제에 동참해 우리나라를 알리고 국익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기 위해 만들어졌답니다.성준 님의 말 : 세종기지에서는 그 동안 어떤 연구 성과를 얻었나요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알린다ISS는 세계에서 유일한 ‘사람이 타고 있는 인공위성’이다. 최첨단 우주 기술의 ‘
종합
선물세트’라고 할 수 있는 이곳은, 고추냉이 튜브가 터진 일이 뉴스가 될 만큼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한국을 널리 알리는 좋은 기회로 삼을 수 있는 곳이다.4월 12일 ISS에서는 러시아 우주인 유리 ... ...
소설 경지에 오른 논문조작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월 13일에는 KAIST에서 ‘김태국 교수 논문조작 관련 중간발표’가 있었다. 두 곳의 보고를
종합
해보면 김 교수팀은 과학자의 양심으로는 도저히 용납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논문에 손을 댄 것으로 보인다.“그는 정말 열심히 일했고 아주 능률적이었으며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았다.” 김 교수가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그 결과 비만생쥐의 장내공생세균을 받은 생쥐 역시 뚱뚱해졌다.이러한 결과들을
종합
하면 비만은 장내 공생세균들의 구성, 즉 펄미큐티스균 증가와 박테로이데균 감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머지않아 장내미생물을 조절해 살을 빼는 다이어트약이 나오지 않을까.2형 당뇨병*인슐린 분비가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