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재"(으)로 총 7,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너머로 외계인을 본 것 같단 말이죠. 헛것을 본 거라고요? 그래서 이참에 외계인의 존재 여부도 밝히고 직접 찾아보려고 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수동TV] 수학으로 따지다! 미스터리 외계인Part1.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Part2.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광견병 등을 예방하는 백신을 연달아 만들어냈다.백신까지 개발됐지만, 바이러스의 존재는 여전히 불분명했다. 그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 근본적인 원인일 것으로 추측하는 데 그쳤다. 러시아 생물학자 드미트리 이바노프스키 역시 마찬가지였다. 다만 그는 1892년 담뱃잎의 모자이크병을 ...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과학자가 개의 위장을 해부하다가 우윳빛 혈관을 발견했다. 지금은 림프구 등 백혈구의 존재가 알려졌지만, 당시에는 ‘혈관은 붉은색이어야 한다’는 상식을 벗어난 것이었다.인간이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의 두 가지 면역 경로를 보유하고 있다는 현대 면역학의 토대가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암세포도 항원처럼 정상세포에는 없던 물질을 표면에 발현시키는 등 자신이 다른 존재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내뿜는다. 이런 신호를 면역시스템이 인식하면 몸속에서는 암세포의 자살을 유도하는 다양한 공격을 시도한다. 특히 최근 개발되는 항암제는 대부분이 면역항암제인데, 이는 암세포의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3. 외계인이 우리를 찾게 만드려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뉴스 인터뷰에서 말했답니다. 그럼 대회 우승작을 한번 볼까요? 저도 외계인이 제 존재를 눈치챌 수 있도록 수학을 사용해 메시지를 보내야겠어요. 어쩌면 소행성이 지구를 지나던 날 제가 봤던 외계인이 메시지를 확인할지도 모르잖아요! 제가 멋진 메시지를 보낼 수 있도록 수학하면 빠질 수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예측한 거야! 한편, 2100년을 지목한 또다른 학자 프랭크 교수는 이스터섬처럼 역사상 존재했다가 멸망한 문명의 사례들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집해 행성과 문명 사이의 변화 양상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어. 문명의 발전에 따른 자원 보유량 변화, 기후변화, 과학 문명을 이룬 인구수 ... ...
- [매스크래프트] #7. 네덜란드 풍차, 우정을 그래프로 표현하면?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수를 구하는 ‘파티 문제’가 있어요. 램지 수는 서로 아는 m명 또는 모르는 n명이 반드시 존재하는 최소 인원으로, R(m, n)으로 표현해요. 따라서 램지 수를 이용하면 파티에 서로 아는 m명이나 모르는 n명이 반드시 있기 위해서는 몇 명을 불러야 하는지 알 수 있죠. 가장 간단한 파티 문제는 R(3, 3)으로 ... ...
- 코로나19 팩트체크┃ 백신, 치료제, 개발됐나?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갖춰지면 스스로 살아가며 번식할 수 있다. 반면 바이러스는 생물도 무생물도 아닌 중간 존재로, 스스로 증식할 수 없으며 숙주에 기생해서만 살 수 있다. 바이러스가 책상, 옷 등 물건에 묻었을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스로 사멸하는 이유다. 즉, 폐렴백신은 폐렴구균이라는 박테리아에 작용하기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이제이(以夷制夷). 오랑캐로 오랑캐를 무찌른다는 뜻을 가진 이 사자성어는 우리가 바이러스를 활용하는 데도 들어맞는다.바이러스는 1900년경 인류에게 감염병을 전파 ... 가운데, 인간을 갉아먹는 악으로만 여겨졌던 바이러스가 이제는 거꾸로 선행을 베푸는 존재로 떠오르고 있다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만든다. 이 과정은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껍질을 이루는 구조단백질이 각각 따로 존재할 때보다 하나의 구조를 형성할 때 화학적으로 더 안정하기 때문이다. 나선형 바이러스의 경우 캡소미어(막 단백질을 이루는 단위 단백질) 조각을 한 층씩 쌓아 올리고, 정이십면체 모양의 바이러스도 캡소미어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