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자신에게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계산하는 역할을 해요. 1218대의 드론은 이 두 장치를 통해 얻은 정보를 합쳐서 서로의 간격을 150cm로 유지하며 원하는 모양을 완성해요. 정확한 위치에 자리잡은 드론들이 LED 빛을 내면 오륜기와 수호랑이 완성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MRI 장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의대 방사선과 선임연구원 팀은 손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장갑 형태의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개발해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 5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직접 개발한 MRI 장갑을 끼고 손의 운동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손가락뼈와 힘줄, 인대가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세계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성 과정을 관찰할 수는 없을까. 선 교수는 “현재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장치(MRI)의 해상도는 수백 마이크로미터(μm) 수준”이라며 “뉴런을 관찰하려면 적어도 수 μm 수준으로 고해상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뉴런을 관찰한다고 하더라도 어느 분화 단계를 거치고 있는지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성능 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또 열차 50량을 장대 편성할 수 있도록 차량연결기와 제동장치의 내구성, 내한성을 높이는 연구를 3년째 진행 중이다. 박 실장은 “동북아 공동화차는 북한과 러시아의 접경 지역인 두만강 쪽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이라며 “짧은 구간 내에서 여러 번 환승, 환적하느라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HIMAC)를 개발했다. 의료용 중입자가속기는 탄소를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키는 장치다. 이후 가속된 입자를 몸속 암세포에 충돌시켜 종양을 사멸한다. 이때 초당 10억 개가 넘는 입자들이 체내에 투입된다. 중입자를 이용한 암 치료는 기존의 X선이나 감마(γ)선 등 방사선을 이용한 치료보다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으켜 미세한 폭발을 일으킨 뒤 그 힘으로 약물을 방출시켜서 체내로 주입시키는 장치를 만들었다. 여 교수팀의 연구는 우주항공기술을 다른 분야에 적용한 대표적인 스핀오프 사례로 꼽힌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매년 자체 개발한 우주항공 기술이 다른 산업계나 제품에 적용된 사례를 모은 ... ...
- [이투스교육] 입시에서 가장 중요한 전략은 ‘수능’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배제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학업 역량, 또는 성실성을 평가하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대학이 마련하는 것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이다. 대학이나 모집 단위마다 기준은 서로 다르지만, 수능 최저학력기준은 대학이 생각하는 우수한 인재의 기준 중 하나다. 서울대 지역균형선발전형의 수능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피젯 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거예요. 태양과 화성 사이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지점에 인공 자기장 장치를 놓으면, 장치는 한 자리에 고정돼 있으면서 태양풍으로부터 화성을 지켜줄 수 있다는 거지요. 연구팀이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인공 자기장이 있으면 태양풍을 막아 줘 시간이 지날수록 화성의 대기가 두꺼워지는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수소 원자에서 전자를 떼어낸 뒤 핵인 양성자를 전자기장으로 가속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경주 양성자가속기는 양성자를 빛의 속도의 약 43% 수준인 초속 13만km까지 가속시킬 수 있다. 양성자가속기라고 하면 스위스와 프랑스의 국경지대 지하에 설치된 거대강입자가속기(LHC)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장치), 페이로드(payload·비행체에 실리는 탑재물) 분리장치, 카메라, 간단한 기상 실험 장치를 싣고 있어 무게는 총 21kg이다. 이름은 ‘스누볼(SNUBall)’이라고 붙였다. 과학기구로는 국내에서는 처음 띄우는 것이라 더욱 긴장됐다. 발사팀이 공장 벽을 바람막이 삼아 발사 준비를 시작했다. 갑작스런 ... ...
이전8586878889909192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