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수
실책
과실
틀림
과오
착오
오류
d라이브러리
"
잘못
"(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미래를 잘 대비할 수 있다”며 이렇게 설명했다. 홍수 같은 재난 위험도 예측에서는
잘못
될 경우 수많은 생명이 위험해져 정확도가 더 중요하다. 연구팀이‘재난 위험도 예측 모델’개발에 나선 이유다.* 중력파 일반상대성이론에 따라 질량을 가진 물체가 움직일 때 나오는 파동. 아직까지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만든다. 몸이 비소를 인으로 착각해 받아들이면 몸 안에서 불안정한 분자를 만들거나
잘못
된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성근 충북대 미생물학과 교수는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지금까지 생명체의 범위를 너무 좁게 보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우쳐 준 대단한 발견”이라고 평가했다.예상대로 ... ...
새만큼 똑똑한 도마뱀도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전에 음식이 있었던 뚜껑을 열었다. 음식이 없는 걸 확인한 도마뱀 중 두 마리는 즉시
잘못
된 선택임을 깨닫고 옆으로 가 다른 뚜껑을 열었다. 릴 교수는 이 두 마리를 각각 ‘플라톤’과 ‘소크라테스’라고 이름 지었다. 캐나다 맥길대 생물학과의 우리스 리페브르 교수는 “이 결과는 파충류와 ... ...
폴링 스카이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길지 않다. 겨우 1만 년 전까지 지구가 빙하기였던 것도 생각해 보자. 친구가 시간을
잘못
맞춰 왔다면 얼음으로 가득한 지구나 아직 식지 않았던 불로 가득한 행성만 만나게 될 수도 있다. 그러면 그는 멀리서 힐끗 보고 ‘대체로 무해함’ 정도만 안내서에 기록하고 지나갈지도 모른다.그래도 ... ...
PART 1 무한의 개척자, 칸토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수학 저널에 자신의 증명을 실었어요. 하지만 두 달이 채 지나지 않아서 자신의 증명이
잘못
됐다고 번복했고, 이런 일이 종종 생기자 친구처럼 지내던 미타그-레플러는 칸토어에게 등을 돌렸어요. 게다가 크로네커는 칸토어의 논문이 저널에 실릴 때마다 그를 강하게 비난하며 공격했는데, 이런 일을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잘못
된 행동을 지속해 오히려 건강을 망친다는 얘기다.건강기능식품협회도 ‘
잘못
알려진 건강기능식품 상식 7가지’를 발표하며 건강기능식품을 만병통치약처럼 여기지 말라고 권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은 식사에서 부족할 수 있는 영양소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분이 들어있을 뿐 ... ...
Part 3. 꿀벌 없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소리가 들린 것 같은데? 꼭 영화에서나 보던 꿀벌 소리와 닮았구나. 붕붕붕, 하는. 내가
잘못
들었겠지. 이제 꿀벌은 없으니까. 벌들이 살아 있다면 이렇게 변해버린 지구를 보고 뭐라고 생각할까….(미래인 사라진다)(부르르 떨던 소리가 붕붕붕 소리로 바뀐다. 소리가 잦아들며 막이 내린다. ... ...
PART 1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공포영화가 얼마나 무서운지를 나타내는 수학공식에 대해 아느냐고 물었지. 혼자
잘못
알아듣고는…. 그리고 수학 잘한다고 하기에 당연히 아는 줄 알았죠. 이미 2004년에 영국 킹스대 수학자들이 공포영화의 ‘공포 수치’를 알려주는 수학공식을 만들었어요. 연구팀은 공포영화의 고전인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공격하는 초, 중, 고 학생들이 많은데 이런 모습을 보면 매우 안타깝다. 한 순간의
잘못
된 판단으로 영원히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너는 것이기 때문이다.보안업계만큼 직업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보람을 얻을 수 있는 분야도 많지 않다. 뚜렷한 윤리 의식을 가지고 미래 IT 보안을 책임지겠다는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략 세우기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Step1. 객관적인 위치 파악하기 내신 성적을 수시 지원의 일차 기준으로 삼는 것은 크게
잘못
된 생각이다. 수시 지원의 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은 수능 모의고사 성적이다.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지원전략을 수립해야 하는데, 가장 정확한 판단기준은 수능 모의고사 성적일 수밖에 ... ...
이전
85
86
87
88
89
90
91
92
93
다음
공지사항